본 연구는 쓰기 과제에 관한 연구이다. 서로 다른 쓰기 과제 유형에서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 정확성과 형태집중 양상을 귀납적으로 분석한다. 목표어가 한국어인 중급 수준의 한국...
본 연구는 쓰기 과제에 관한 연구이다. 서로 다른 쓰기 과제 유형에서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 정확성과 형태집중 양상을 귀납적으로 분석한다. 목표어가 한국어인 중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Dictogloss>과제와 <글 재구성하기>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언어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료 학습자와 서로 의미 협상을 하면서 어떤 언어 형태에 집중하며 그 결과가 과제 유형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의사소통 과제(Communicative task)로 <Dictogloss>과제와 <글 재구성하기(Text Reconstruction)>과제를 선정하고 학습자 쌍의 형태집중 양상을 비교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의 형태집중을 비교하기 위해 실험 참여자들의 과제 수행 중 일어난 LRE(Language Related Episodes)를 분석한다. 듣고 재구성하는 <Dictogloss>과제와 읽고 재구성하는 <글 재구성하기>과제의 다양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통해 학습자들이 어떤 과제에 형태집중을 일으키고 정확한 결과를 생성하는지 비교한다.
발생한 LRE 수(N)를 비교했을 때, <Dictogloss>과제가 <글 재구성하기>과제보다 형태 집중이 1.4배 높게 발생했다. 정확한 LRE 수(N)로 비교했을 때, <Dictogloss>과제가 <글 재구성하기>과제보다 형태 집중이 1.3배 높게 발생했다. 텍스트 대비 발생한 LRE 비율로 비교했을 때, <Dictogloss> 과제가 <글 재구성하기>과제보다 1.6배 높게 발생하였다.
학습자는 <Dictogloss>과제를 수행할 때 어휘 형태에서 동사와 명사에 집중하였고, <글 재구성하기>과제를 수행할 때 어휘 형태에서 동사와 부사에 집중하였다.
학습자는 <Dictogloss>과제를 수행할 때 문법 형태에서 전성 어미와 연결 어미에 집중하였고, <글 재구성하기>과제를 수행할 때 문법 형태에서 전성 어미와 종결 어미에 집중하였다.
<Dictogloss>과제는 학습자에게 쓰기와 말하기 학습에 유용하여, 어휘교육과 문법교육에서 그 활용이 기대된다.
This study is research for writing task. In different kind of type of writing task, it finds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analysis the accuracy and focusing on form by inductive method. That is to study what consequence occurs according to each tas...
This study is research for writing task. In different kind of type of writing task, it finds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analysis the accuracy and focusing on form by inductive method. That is to study what consequence occurs according to each task type by focusing on language form and discussing with pair of learner to solve the certain problems, when the students who have middle level at target language meet these problems about language while they carry on the <Dictogloss> task and <Text Reconstruction> task.
This study chooses <Dictogloss> and <Text Reconstruction> which are the communicative tasks, and compares focusing on form of pair of students. Next it analyze LRE(Language Related Episodes)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complishment. The study compares how students focus on task and lead to accuracy conclusion through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Dictogloss> and <Text Reconstruction>.
When compared to number of happened LRE, <Dictogloss> occurred in 1.4 times higher than <Text Reconstruction>.
When compared to accurate number of happened LRE, <Dictogloss> occurred in 1.3 times higher than <Text Recon- struction>.
When compared to Text, <Dictogloss> occurred in 1.6 times higher than <Text Reconstruction>.
Students are more focusing on <Dictogloss> than <Text Reconstruction>. In Vocabulary form, a noun and a verb happen to higher than Grammar form. According to Study, <Dictogloss> activity is useful to students who study writing and speaking as foreign language. Expecially, <Dictogloss> is expected, in that, it has high focusing in form on a vocabulary and grammar teaching method.
,免费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