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중국어의 '가능성' 표현 대비 연구 : (으)ㄹ 수 있과 能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Modality is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which is comprised in the sentences used in every language. The modality can be conventionally classified as perceptional modality and obligatory modality. Both of them are related with 'possibility'. M...

Modality is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which is comprised in the sentences used in every language. The modality can be conventionally classified as perceptional modality and obligatory modality. Both of them are related with 'possibility'. Modality exists in all the languages, meanwhile, the 'possibility' functions as the most typical modality meaning in the languages. The modality of 'possibility' can be expressed in each language accompanying with different system and formality. In Korean, the modality expression of 'possibility' is mainly expressed as the declaration ending, terminative ending or other similar tagmemes. In addition, it can also be expressed by the syntactic construction, or the lexical items, such as verbs, adjectives, adverbs and postposition. On the other hand, in Chinese, the modality expression of 'possibility' is mainly expressed by the auxiliary verbs, modal words and adverbs, etc.. The representative modality expression for 'possibility' is '-(으)ㄹ 수 있-' in Korean, and '能' in Chinese, which are selected as the topic of this article.
The '-(으)ㄹ 수 있-' and '能’ showed some same and different aspects based on the semantics and syntax. Their differences were organized as in the following. On the perceptional aspect, '-(으)ㄹ 수 있-' has both the inevitability supposition and the likelihood assumption meaning. On the other hand, '能' only comprises the likelihood assumption meaning. Nonetheless, it cannot fulfill the euphemism expression of likelihood assumption meaning. To the obligatory modality, the '-(으)ㄹ 수 있-' can not be in charge of expressing proficiency, as well as the civility expression by 'wish' or 'request' .The '-(으)ㄹ 수 있-' expressed for perceptional modality can be combined with the state predicates and the active predicates which is also one of their syntactic features. Moreover,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state predicates, no personal restriction can affect on their combination. Furthermore, since the '-(으)ㄹ 수 있-' has the tense changing feature, which makes its precedence predicates or succeeding predicates can not be used freely for considering the tenses . On the contrary, the '能‘ can be used without the tense restriction. In case of the negative form, the '-(으)ㄹ 수 있-' can not be used as negation in the perceptional modality, while '能’ has various negative forms. To the obligatory modality, likewise, '能' can be used without tense limitation, but the '-(으)ㄹ 수 있-' can only be used in present tense. For the negative format, the '-(으)ㄹ 수 있-' has the unique negative expression of '-(으)ㄹ 수 없-'. Instead, '能’has more multiple negative forms.
Despite of the preceding discussion, deeper research should be done for the many left supplementing parts. In this , the possibility expression used in Korean language '-(으)ㄹ 수 있-' and '能‘ in Chinese language were compared based on their semantic and syntactic aspects. However, no distinct boundaries exist among each meanings in semantics made it still unresolvable for classifying each meaning. Meanwhile, in syntactics, besides the restrictions to the subject/predicate, the tense restriction, negative forms, and other aspects, for instance, the mood restriction, the rules for combining with other syntactic factors, etc. can be studied as future research projects.

양태(modality)는 화자의 심리태도이다. 언어마다 사용된 문장은 양태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양태는 인식양태와 의무양태로 분류할 수 있다. 인식양태인지 의무양태인지는 다 '...

양태(modality)는 화자의 심리태도이다. 언어마다 사용된 문장은 양태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양태는 인식양태와 의무양태로 분류할 수 있다. 인식양태인지 의무양태인지는 다 '가능성'과 관련된 것이다. 양태는 모든 언어에 존재하여 '가능성'도 언어에서 가장 전형적인 양태 의미로 자리를 잡고 있다. 서로 다른 언어는 양태 표현에 있어서 상이한 체계와 형식이 수반한다. 한국어의 경우 '가능성' 양태 표현은 주로 선어말어미, 종결 어미와 같은 문법소, 그리고 통사적 구성을 통하여 나타날 수도 있고, 동사, 형용사, 부사, 조사를 통해 어휘적으로 실현될 수도 있는 반면에, 중국어의 경우 '가능성' 양태 표현은 주로 조동사(助動詞), 어기사(語氣詞), 부사(副詞)등을 통하여 실현된다. '가능성'의 의미를 지닌 대표적인 양태 표지로는 한국어에서는 '-(으)ㄹ 수 있-', 중국어에서는 양태 조동사 '能'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으)ㄹ 수 있-'과 '能'을 선택하여 비교할 것이다.
'-(으)ㄹ 수 있-'과 '能'은 의미적이거나, 통사적으로 같은 점과 다른 점이 있다.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의미론에 있어서 인식양태 측면에 '-(으)ㄹ 수 있-'는 개연성 추측과 가능성 추측 의미를 다 있는 반면에 '能’은 가능성 추측의미만 가진다. 그래도 '-(으)ㄹ 수 있-'보다 가능성 추측 이미를 갖는 완곡 표현을 수행할 수 없다. 의무양태에 '-(으)ㄹ 수 있-' 구조는 '能’보다 어떤 일에 대한 능함을 나타나지 못하고 공손을 표현하는 '바람'과 '요청' 의미를 담당하지 못한다. 통사적 특징에는 인식양태에서 '-(으)ㄹ 수 있-' 구조는 상태용언과 동태적 용언에 다 결합할 수 있고 상태용언과 결합하는 경우에 인칭제약이 있는 데에 비하여 '-(으)ㄹ 수 있-'는 인칭 제약 없이 상태용언에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으)ㄹ 수 있-' 구조는 시제에 있어서 선행용언이나 후행용언이 시제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으나 '能’은 시제의 제약이 없다. 부정형식의 경우, 인식양태에서 '-(으)ㄹ 수 있-'구조는 부정을 추할 수 없지만 '能’의 부정형식이 다양하다. 의무양태에서 만찬가지로 '能’은 아무 시제나 결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으)ㄹ 수 있-' 구조는 선행용언이 현재시제에만 연결할 수 있다. 부정형식에 '-(으)ㄹ 수 있-'는 '-(으)ㄹ 수 없-' 유일한 부정형식이 있지만 '能’은 더 많은 형식이 있다.
앞의 논의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더 깊이 연구해서 보충해야 할 부분이 많이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에서 한국어 '가능성'표현 '-(으)ㄹ 수 있-'과 중국어 '가능성' 표현 '能’은 의미론적과 통사론적으로 대비하였다. 그러나 의미론에 있어서 각 의미 사이에 명확한 경계선이 없어서 각 의미를 어떻게 구분시키는지 통사론에 주어/용언의 제약, 시제의 제약과 부정형식을 제외하고 다른 측면, 예컨대 서법의 제약, 다른 문법과의 결합 규칙 등은 본고에서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앞으로 연구과제로 남긴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