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거절화행을 분석하고 실제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분석함으로써, 교재에 제시된 거절화행의 문제점을 밝히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거절화행을 분석하고 실제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분석함으로써, 교재에 제시된 거절화행의 문제점을 밝히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많은 화행 중에서 거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는 이유는 거절화행이 요구를 물리치는 행위로 상대방의 감정과 체면을 손상시킬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대방의 체면을 보호하면서도 자신의 발화 목표를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거절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II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거절화행을 교수요목과 단원구성, 유형, 변인별로 분석하였다. 교육 연한이 10년 이상 된 대학부설교육기관에서 발행한 한국어 초·중급 교재 5종 22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교수요목과 교재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요목에서 유도화행에 대해 제시하고 있는 교재가 거절화행을 제시하고 있는 것보다 많았다. 또 유도화행에 대한 수락은 많지만 거절을 하는 경우는 적었다. 단원구성의 분석 결과, 각 단원에 위치한 언어 영역별 연관성과 거절화행의 출현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절화행은 총 201회 실현되었는데,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난 영역이 문법 영역이었다. 이로써 거절화행을 특정 문법 항목의 연습 과정에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거절화행의 유형별 분석 결과를 보면 빈도의 차이는 있지만, 초‧중급 교재 대부분에서 간접적인 거절화행이 직접적인 거절화행보다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역시 ‘이유 제시하기’에 편중되어 있었다. 부가표현은 전체 교재 분석에서 한 번 나타났는데 이는 부가표현의 성격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이 외에 복합화행의 빈도가 높았는데, 특히 초급 단계 교재의 경우 ‘이유 제시하기’를 거의 포함하고 있었다. 중급 단계 교재는 초급 단계 교재에 비해서는 다양한 화행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초‧중급 교재 전체적으로 거절화행을 다양하게 제시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 전략에 편중되어 있어 전략의 다양성이 부족해 보였다.
거절화행의 변인별 분석에서는 유도화행과 사회적 변인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재별 유도화행 출현 빈도수는 167회이며, 대부분이 제안이었고 다음으로 요청, 권유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도화행 권유, 요청, 제안에는 ‘이유 제시하기’가 가장 많았고, 명령에는 ‘난처함 나타내기’와 ‘이유 제시하기’가, 요청에는 “아니다”와 “괜찮다”가 많았다. 사회적 변인별 분석에서는 171개의 대화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교재 전반적으로 대화자 간의 상하관계나 친소관계 등의 사회적 변인을 거의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상황에 대한 설명 없이 대화문 안에서 유추해야만 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고, 전반적으로 거절화행의 변인을 고르게 제시하지 않았다.
III장에서는 한국인 60명과 TOPIK 3급 이상을 가진 중국인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8문항의 설문조사 분석 결과, 한국인의 복합화행 사용 빈도가 매우 높았다. 그러나 교재에서는 단독화행의 사용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아니다”와 ‘이유 제시하기’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교재가 자연스럽고 다양한 상황을 반영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설문의 응답자들은 세 가지 이상의 복합화행으로 구성된 거절화행을 매우 많이 사용하였으나, 교재에서는 7회 발견하였다.
IV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와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문제점으로는 첫째, 교재 앞 쪽에 배치한 등장인물 소개가 다양한 사회적 변인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요목이 교재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았다. 셋째, 말하기 영역의 비중이 작았다. 넷째, 거절화행의 출현 영역이 ‘문법’에 절반 이상 분포하고 있었다. 다섯째, 중급 교재에서 거절화행의 실현 횟수가 감소하였다. 여섯째, 거절화행과 유도화행이 특정 화행에 치우쳐 있었다. 일곱째, 유도화행에서 거절화행으로의 연결이 적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등장인물을 배치할 때에는 여러 가지 사회적 변인을 고려한다. 둘째, 교재의 내용구성은 교수요목의 선정 후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거절화행 출현 영역을 다양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넷째, 거절화행 출현 영역을 다양하게 설정하되, 말하기 영역의 비중은 다른 영역보다 늘릴 필요가 있다. 다섯째, 단계에 맞는 거절화행을 제시하여야 한다. 여섯째, 다양한 거절화행과 유도화행을 사용하여 교재를 제작하여야 한다. 일곱째, 유도화행에서 이어지는 수락과 거절의 비율, 유도화행과 거절화행의 비율을 일정 부분 맞춰야 한다. 다음으로 거절화행의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 논하였는데, 대화문과 시청각 자료, 역할극 등을 이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활용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초급과 중급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韩语论文范文,韩语毕业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