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와 같이 한국어의 피동 표현이 사용 빈도가 상당히 높은 문법이다. 그런데 한국어 피동은 다양한 형태로 실현되기 때문에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그것을 학습할 적에 매우 어려...
중국어와 같이 한국어의 피동 표현이 사용 빈도가 상당히 높은 문법이다. 그런데 한국어 피동은 다양한 형태로 실현되기 때문에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그것을 학습할 적에 매우 어려워한다.
한국어의 피동에는 피동접미사 ‘-이-, -히-, -리-, -기-’ 등에 결합하여 형성된 피동사에 의해 실현되는 파생적 피동과 용언의 어간에 피동 보조용언인 ‘-아/어/여 지다’와 ‘-게 되다’가 결합되어 실현되는 통사적 피동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 연구 방법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통사적 ‘-아/어/여 지다’에 의한 피동 표현과 ‘-게 되다’에 의한 피동 표현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실험반은 의미 중심 형태 교수법(focus on form)으로 수업을 하였다. 실험 전 지필 평가 결과 설험반과 비교반의 학습자들의 성적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연구를 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반과 비교반 학습자를 대상으로 지필 평가와 설문 조사를 하였다. 실험 후 실험반의 평균 성적은 비교반보다 17.5점 더 높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반은 문법에 대한 흥미도도 실험 전보다 실험 전보다 두 배로 상승되었다. 그리고 실험 전에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한국어 영역 중에서 총 85%가 ‘말하기’와 ‘듣기’ 영역이라고 응답하였는데, 실험 후에 가장 좋아하는 언어 영역은 ‘말하기’와 ‘듣기’라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에서 60%의 비중을 차지하고, ‘읽기’, ‘쓰기’, ‘문법’, ‘어휘’ 영역들을 좋아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각각 10%이었다. 실험 전에 비해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영역의 범위가 더욱더 넓어진 것이다.
의미 중심 형태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학습자들 중에 “매우 만족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에서 75%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실험 연구의 조사 결과를 통하여 의미에 초점을 두면서 형태의 설명도 투입하는 ‘의미 중심 형태 교수법’은 한국어 피동 표현 교육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 능력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실험 참여자들을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로 한정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모든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표현을 교육하는 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한국어 피동법은 중국인뿐만 아니라 외국인 학습자에게도 어려운 문법 범주이다. 앞으로 다른 외국인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피동 표현에 대한 교수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Chinese and Korean as frequent use of the passive expression is significantly higher grammar. Korean passive is realized in various forms. Therefore, Chinese Korean Learners can not easily Korean passive expressions.
Korean Passive Expressions is di...
Chinese and Korean as frequent use of the passive expression is significantly higher grammar. Korean passive is realized in various forms. Therefore, Chinese Korean Learners can not easily Korean passive expressions.
Korean Passive Expressions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types: derivative passive, connected with passivity suffix '-이i-, -히hi-, -리li-, -기gi-' and syntactic passive, formed by predicate stem "{-아a/어eo/여yeo} / 지다jida" and supplement predicate "-게ge 되다doeda".
In this study, experiment and researches on medium Chinese Korean learners is used to examine efficient educational methods of syntactic passivity presented by "{-아a/어eo/여yeo} / 지다jida" and "-게ge 되다doeda", which is highly used in daily life.
Before the experiment, results of field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show that the Korean competency of Comparison Class and Experiment Class is almost equivalent, no great difference.
A written test has been given to evaluate these two classes after Focus on Form is used at Experiment class, which turns out that Experiment class outscores Comparison class 17.5, and Experiment class’ interest in grammar has been increased 2 times. Before the experiment, 85% of the learners responded that their favorite korean area is 'speaking' and 'Listening'. After experimenting favorite language area is 'speaking' and 'listening' who respond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total take up to 60%. the proportion of the people who responded to like 'reading', 'writing', 'grammar', 'vocabulary' area is 10% respectively. The scope of the language area what learners like is wider than before the experiment.
The satisfaction of focus on form method of teaching for survey results among learners, the proportion of the people who answered that we are very satisfied accounted for 75 % across.
From which, a conclusion can be made that focus on form method of teaching has better effectiveness for Korean Passive Expressions, which leads to great improvement of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daily life.
The objects in this experiment are only limited to Chinese, therefore the results can not be determined to be effective for all foreign Korean learners; on the other side, thus, Korean Passive Expressions is a very difficult grammatical categories for chinese learners as well as the other foreign learners. It's very necessary in order to research 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other foreign learner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