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화 교육의 실태와 교육 방향 연구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교육 관점 분석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For effective second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group that uses the language. Most Korean learners are raised in societie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motivated to learn Korean...

For effective second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group that uses the language. Most Korean learners are raised in societie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nd motivated to learn Korean for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in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goal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should focus on understanding Korean people’s thinking and attitudes so that foreigners from other cultures can become the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However, cultural education currently offered as a par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does not follow the second languag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described above.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in three aspects to discuss the presence of cultural education.

First, what are the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cultural education? Third, how is cultural education proceeded?
In result of analysis, it was clarified that the contents of most Korean language materials discuss the traditional Korean stereotypes from the perspective of assimilation. Considering the methods of education available in teaching/learning based on the assignments, they cannot help the learners to develop self-determination as the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or comprehend the difference in culture, but premises one-way information and coercive learning.

This manifested that without critical thinking, cultural education has to be one-way communication based on assimilation since the Korean society is dominated by pure-blood nationalism and standardized groupism. As an alternative, this study suggested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that focuses on improving intercultural abilities. For this purpose, “emotional listening” was suggest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Moreover, multimedia materials were suggested to use with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learning materials to emphasize “emotional listening.”

효과적인 제2언어 및 외국어 학습을 위해서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집단의 문화를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다수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회에서 성장을 하였으...

효과적인 제2언어 및 외국어 학습을 위해서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집단의 문화를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다수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회에서 성장을 하였으며 한국 사회와 연관을 맺으며 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한국어 학습을 시작한 사람들이다. 따라서 한국어 문화 교육의 목표는 한국인들의 사고방식, 태도 등을 이해하여 목표 문화권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삶이 가능하도록 이끌어 주는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화 교육은 위에서 정리한 제2언어 교수․학습 원리처럼 진행되고 있지 못하다. 한국어 교재의 내용과 구성 방식을 세 측면에서 분석하여 문화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첫째, 무엇을 문화 교육의 내용으로 다루고 있는가? 둘째, 문화 교육을 통해 얻고자하는 교육적 성과가 무엇인가? 셋째, 문화 교육을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가? 등이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의 내용과 관점은 전통적 한국의 스테레오 타입을 동화(同化)주의적인 관점에서 다루고 있음을 밝혔다. 교수․학습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한 교육 방식을 교재 안의 과제 등의 구성 방식으로 추론해 보면, 학습자의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주체적 자기 결정성을 인정하고 이문화(異文化)를 이해하도록 도와주지 못하고, 일방적인 정보 전달과 강압적 습득 방식을 전제하고 있다.
이는 순혈주의적 민족주의와 획일적인 집단주의 사고방식이 지배적인 한국 사회의 문화에 대한 비판적 사유 방식이 없다면 문화 교육은 동화주의에 입각한 일방적인 방식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음을 밝혔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한국어 문화 교육이 이문화를 이해하고 소통하려는 간문화(間文化) 능력 향상 위주의 교육으로 변화할 것을 주장했다. 이를 위해 기존의 듣기‧말하기‧읽기‧쓰기의 교육 외에 ‘정서적 듣기’ 기능을 추가할 것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정서적 듣기’ 기능을 강화할 교수․학습 방안으로, 기존 한국어 교재의 특정 단원에 함께 사용할 멀티미디어 교재의 제작 활용을 제안하였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