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목록 수립에 관한 연구 : 어두 자음목록 유형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자음 발화 양상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발화 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별로 한국어의 어두 자음목록이 어떻게 수립되는지 밝혔다. 즉, 단순히 두 언어의 ...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자음 발화 양상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발화 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별로 한국어의 어두 자음목록이 어떻게 수립되는지 밝혔다. 즉, 단순히 두 언어의 어두 자음 대조에 중심을 두는 이전의 대조 연구 방법을 탈피하여 일반적인 음운론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목표어의 음소 목록을 어떻게 수립하는지를 알아보는 방법론에 초점을 두었다.
2장에서는 이전의 대조 연구 방법의 한계를 살피면서 새로운 대조 연구 방법과 실험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가 목표어의 음성을 듣고 발화하는 양상을 모국어의 음소 목록에만 초점을 맞추어 설명할 경우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목표어의 음성을 정확히 발화하는 경우와 목표어와 모국어에 모두 존재하지 않는 음성이 실현되는 경우를 설명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학습자의 목표어 발화는 모국어 음소 중심이 아니라 발화 양상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에 대한 공시음운론적인 어두 자음 대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언어의 어두 자음체계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차이점은 성문 자질에 따른 변별적 기능과 조음 위치의 상이함이다. 즉, 한국어는 성대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평음, 유기음, 경음의 3항 대립이 존재하고, 중국어는 유기음과 평음의 2항 대립만이 존재한다. 또한 파찰음, 마찰음, 유음에서는 조음 위치에 따른 음소 목록의 차이가 나타난다.
4장에서는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어 어두 자음에 대한 중국인 학습자들의 모국어 음소 대응 양상과 실제 발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목표어의 음성을 모국어의 어떤 음소에 대응시키는지를 살펴 L2 학습에 나타나는 모국어의 간섭 정도를 살펴보고, 이런 모국어의 대응 양상이 실제 발화에 얼마만큼 반영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2를 학습할 때 모국어의 간섭으로 많은 오류가 나타난다고 주장하나, 실험 결과 학습자들은 목표어를 모국어의 음소에 대응하여 발화하기보다는 목표어의 음성을 나름대로 이해하고 정확하게 발화하려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했다. 즉, 자음을 생성하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식이 모국어와 다를 때 최소한 조음 위치나 조음 방식 중 하나를 목표음과 비슷하게 발화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5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실제 발화 양상을 바탕으로 학습자 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에 따른 한국어 어두 자음목록의 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일반적으로 음운론 연구자들이 한 언어 또는 방언에 나타나는 음성들을 조사하여 음소 목록을 설정하는 방법과 같다. 연구 결과 L2 학습자들이 목표어의 음성을 발화할 때 같은 언어권이기 때문에 그 기저형이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유형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단순히 두 언어의 음운 대조에 그치는 이전의 대조 연구 방법으로는 다양하게 나타나는 학습자의 목표어 음성 발화형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본고는 학습자의 발화형을 중심으로 기저형을 재구하는 새로운 대조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type of Chinese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initial consonants and establish the Chinese learner’s inventory of Korean initial consonants. Unlike most previous contrastive approaches, I focus on how L2 learn...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type of Chinese learner’s pronunciation of Korean initial consonants and establish the Chinese learner’s inventory of Korean initial consonants. Unlike most previous contrastive approaches, I focus on how L2 learners establish their own inventory of the target language in general way.
In chapter 2, I suggest the new contrastive perspective and research method. In traditional contrastive approach, such as L2 learner’s pronunciations of the target language are only based on the inventory of their native language, there is no way to explain how learners learn and construct the well-formed representation of the target language or the representation which does not exist either in the target language or the native language. So I argue that the research must be taken with L2 learner’s actual pronunciation rather than their, somewhat abstract, inventory of native language.
In chapter 3, I contrast initial consonant system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ynchronically. Most prominent gaps in both systems are the distinctiveness of glottal feature and the different place of articulation. With reference to manner of glottis, a trilateral opposition exists in Korean, whereas Chinese has only a bilateral opposition. With affricate, fricative, and liquid sound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place of articulation.
In chapter 4, I analyze Chinese learner’s corresponding Korean onset to their native phoneme system and actual pronunciation. Through this analysis, we may expect how the interference of the native language influences L2 learner’s actual pronunciations.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interference of the native language causes many errors. However, I argue that L2 learners comprehend target language’s representation in their own way, according as general manner of articulation or place of articulation. Therefore, it can be proposed that L2 learners pronounce target language’s representation closely.
In chapter 5, I categorize the inventory systems of Korean initial consonant by chinese learners into several sub-types. Each type of inventory systems are based on actual pronunciation of categorized learner group. And each group of learners have their own type of target language’s inventory system, even though they have same native language.

韩语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