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번역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 및 번역투의 개념을 살펴보고 김진호 등(2006)이 번역한 『최신 특수교육』에 나타난 번역투 유형 분석을 통하여 가독성 개선 전략을 모색하는...
본 연구는 번역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 및 번역투의 개념을 살펴보고 김진호 등(2006)이 번역한 『최신 특수교육』에 나타난 번역투 유형 분석을 통하여 가독성 개선 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고에서 번역투는 번역자의 지나친 원천 지향적 번역(source-oriented translation)으로 인해 목표 언어 규범에 위배되어 가독성(readability)을 저하시키는 어투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번역투는 원천 텍스트와 목표 텍스트 간의 관계에 관련되는 정확성(accuracy), 충분성(adequacy), 충실성(faithfulness) 등의 개념과 달리 목표 텍스트와 목표 문화권 규범 간의 관계와 관련이 있다. 즉 원천 텍스트의 의미나 메시지를 기준으로 정확성을 확보한다면 목표 문화권의 언어적, 문화적 관습과 규범을 기준으로 번역투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두 개념이 번역 품질 확보를 위한 중요한 두 축을 구성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원천 텍스트의 메시지 또는 의미에 충실하면서도 목표 언어 독자들에게 목표 문화권의 비번역(non-translation) 텍스트처럼, 혹은 이와 유사한 정도로 쉽게 수용될 수 있는 텍스트의 생산 여부가 번역자의 과제로 남는다.
이와 같은 인식에 따라 본고에서는 이근희(2005a)와 김지혜(2006)의 번역투 분류를 참고하여 한국어 어문 규정을 기준으로 목표 텍스트에 나타난 번역투의 유형을 열 가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유형별로 번역투가 나타나는 예를 수록, 분석하였으며 가독성 제고를 위한 연구자의 대안번역을 제시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번역 품질은 번역투의 수정만으로는 확보될 수 없기 때문에 대안번역을 제시할 때 원천 텍스트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의 정확성도 중요한 요소로 다루었다.
학술서 번역에서 축자역(literal translation) 또는 단어 대 단어(word-for-word) 번역이 오랫동안 규범적 전략 중 하나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번역 영역에서 학술적 개념에 대한 전문 지식이 종합적 번역 능력에 우선시 된 경향이 있다. 그 결과는 원천 언어와 목표 언어의 특성을 모두 갖는 중간 상태의 언어로 인한 혼란과 의사소통의 부분적 단절로 나타났다. 본고가 이러한 인식을 개선하는데 작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This thesis seeks to investigate how the Korean translation of William Heward's Exceptional Children: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2006) might be improved, first by examin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ranslation quality and the conceptual ...
This thesis seeks to investigate how the Korean translation of William Heward's Exceptional Children: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2006) might be improved, first by examin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ranslation quality and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ranslationese,” and then by analyzing the types of translationese that appeared in the translated text. Unlike such concepts as “accuracy,” “adequacy,” and “faithfulness,” which are all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rce and the target texts, the term “translationese” is a matter of whether and to what degree the translator abides by the grammatical and usage rules of the target language in the given translation situati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1) What are the types of translationese found? and 2) What are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readability of the translated text?
In this study, the types of translationese found in the Korean language edition are analyzed and grouped into ten categories before their revised versions are provided under the heading “alternative translation.” When these alternative translations were produced, considerable emphasis was put on how to eliminate the elements of translationese so that the translated text could be readily accepted by its readers. However, given that accuracy and readability are the two most important pillars of translation quality in most translation situations, the accuracy-related aspect of the translation also had be given due consideration.
This study deals with one of the most frequently visited areas of translation studies. Hopefully, it will contribute to raising awareness of the ways to improve the translation quality of Korean translation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studie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