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중의성에 따른 경계 인식 및 경계 발화 현상에 대한 실험 연구를 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는 전체 유학생 중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학문 ...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중의성에 따른 경계 인식 및 경계 발화 현상에 대한 실험 연구를 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는 전체 유학생 중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학문 목적 학습자가 주를 이루고 있어, 이들에게 적합한 방법으로 한국어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국어에서 경계는 정보 이해 및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의미 변별 자질로서 기능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중의성에 따른 경계 인식 및 발화 현상에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한국인의 경계 발화 현상과 비교하여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중국인 학습자에게 보다 나은 한국어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발화에 어떠한 특성이 있고 한국인의 발화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야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연구 가설을 세우고 경계를 정보 이해에 관여하는 기능과 변별적 자질로서의 기능으로 나눠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경계의 정의와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존 연구들을 통해서 경계의 특성을 알아보고 경계에서 발생하는 경계표지인 경계 음절의 장음화, F0 곡선 변화, 휴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구체적인 경계 인식 및 경계 발화 실험의 방법과 내용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실험 방법을 설계하고 실험 대상인 한국인과 중국인에 대한 정보, 실험 자료로 사용한 4문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에 사용한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과 실험 과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분석, 기술하였다. 먼저, 개별적인 문장들의 실험 결과를 한국인과 중국인으로 나눠서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특성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전체적인 결과를 종합해서 한국인과 중국인의 특성을 알아보고 이것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각각의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과 중국인의 경계 발화 현상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한국인의 경계 발화에서는 경계 음절의 장음화가, 중국인의 경계 발화에서는 F0 곡선 변화가 가장 높은 비율로 발생해서 이들의 경계 발화 현상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한국인의 경계 발화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던 휴지가 중국인의 경계 발화에서 중요한 경계표지로 작용한 것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표면상으로 같은 문장이라도 의미에 따라 경계 음절에서 나타나는 경계 발화 현상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이다. 한국인의 경계 발화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중국인의 경계 발화에서는 같은 문장이라도 경계 음절의 위치가 바뀌면 경계 발화의 현상도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 기간이 길수록 한국인의 경계 인식 및 발화 현상과 유사해질 것이라는 가설이다. 이 가설은 일부 맞는 부분도 있었지만 가설과 반대되는 결과가 대부분이었다. 가설과는 다르게 고급 학습자보다 중급 학습자가 한국인의 경계 발화 현상과 비슷한 경우도 있었고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의 경계 발화 현상에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경계 발화 현상에 남녀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한국인 남녀의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중국인 남녀의 경우에는 차이가 있었다. 중국인 남녀 발화에서 전체적인 경계표지 발생 빈도의 차이가 의미에 관여한 경계표지 유형에도 영향을 주어, 중국인 남녀의 경계 발화 현상에 차이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실험 결과를 종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대상의 수가 실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부족했고 발화 실험을 시도하였으나 낭독하는 것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충분한 실험 대상을 확보하여 신뢰 범위를 충족시키고 실제 발화를 통해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그리고 중국어권 학습자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권의 학습자들의 발화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서 학습자에게 적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