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중심이 되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실태를 파악한 후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수업 자료)의 실태 및 요구도를 파악하여 이들 가정에 대한...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중심이 되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실태를 파악한 후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수업 자료)의 실태 및 요구도를 파악하여 이들 가정에 대한 한국어교육정책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교육 지원 현황 및 문제점과 이에 대한 정책은 무엇인가?
둘째, 다문화 교육에 있어서 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수업 자료)의 실태는 어떠하며, 이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도는 어떠한가?
셋째, 다문화가정을 위한 한국어 교육정책 제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다문화 학교를 표본으로 선정, 다문화교육 경험자 중 KSL자격증 소지자를 포함한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다문화 교육에 있어서의 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수업 자료)의 실태와 요구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정책과 한국어 교육정책 현황은 한국어반/방과후 학교 운영, 문화체험활동, 대학생 멘토링 등을 통해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능력 향상을 지원하였고, 다문화 이해 제고를 위해 정책연구학교를 운영하였으며, 다문화 교육 관련 전문 연구․개발을 통해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학생을 위한 교재 및 프로그램 등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짧은 기간 동안 추진된 다문화가정 학생지원 정책으로 인해 체계적인 현황 파악 및 지원이 부족하였고, 다문화 교육 관련 정보 제공 및 활동에 대한 인센티브의 부족, 부처 간, 중앙-지방간 체계적인 역할 분담 및 연계체제 확립 미흡으로 정책 지원의 시너지 효과가 부족하였다. 다문화가정에서의 한국어 적용은 한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다수의 교사들이 표준화된 교과 과정에 대한 이해도 미비할 뿐 아니라 표준화되지 않은 각양각색의 교재로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매우 떨어졌다.
둘째, 실제 다문화 교육을 지도해 본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증조사한 결과, 지도의 대상은 주로 초등학교 중학년(3-4학년)이 많았으며, 요구는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을 위한 교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주제로는 문화적 다양성, 문화적 정체성 등이, 목표로는 타문화 이해와 존중, 세계 시민으로서의 기초 능력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언어와 풍습이 가장 많이 제안되었고,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으로는 협동학습, 놀이학습(게임) 등이, 평가 방법으로는 과정 중심 평가가 각각 요구되었다.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영역은 말하기, 한국어 교육의 방향으로는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한국어 교육,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 요구로는 한국어 교사들이 참여하는 프로그램 공급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셋째,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정책을 인적 지원 기반, 행정․재정적 지원, 사회적 지원 체계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먼저 인적 지원 기반의 측면에서는 교사 및 행정가의 전문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며, 인적 지원 체제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한국어 교사들이 참여하는 한국어 프로그램 공급과 외부 한국어 교사의 활용을 통하여 한국어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초등학교 학생에게 한국어 교육을 지도하는 교사나 다문화 시범학교 교사에게 다양한 연수를 실시하고, 한국어 교육 및 다문화 인식 제고를 위한 책이나 잡지, 인터넷 등 다양한 자료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행정·재정적 지원 측면에서는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학생의 특성에 맞는 한국어 학습지도, 상담 등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관련 법․제도적 기반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적 지원체계 측면에서는 정부를 비롯한 각종 단체와의 긴밀한 협력 체제가 구축․운영되어야 하며,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