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d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language policies of modern Korea and Japan, the two recent emerging multicultural countries, through the methodology of examining and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the 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nd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language policies of modern Korea and Japan, the two recent emerging multicultural countries, through the methodology of examining and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the disadvantages of each countries’ respective current language policies and the language education phenomenon.
This dissertation starts in chapter 1 with a literature review of preceding studies on the various subjects in correlation to this study; Research on Korean policy on multicultural society and its language program, Japanese language policy for multicultural society, and on comparative policy studies on multicultural societies of both countries. The outline of research in chapter 2 will be to set forth a working definition of the aforementioned policy, and then to discuss the factors of influence in enactment of language policy, and the types of the multicultural language policy types. Chapters 3 and 4 of this dissertation will then cover Korea and Japan’s historical backgrounds in the forming of multicultural societies, its current status in each respective background, objectives for educational policies of teaching vernacular language, language policy enactment structure, the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situation, the local dimension of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policy status, and the two-sided language policies. Utilizing information researched in chapters 3 and 4 will provide a basis for chapter 5’s comparison of the language policies of Korea and Japan. Finally, in the conclusion, the research will suggest a recommendation of strategic mutual compromise model in installing language policies for Korea and Japan.
Both Korea and Japan have tendencies to discriminate and exclude foreigners due to a national background based on their single national lineage and a strong bond due to dominant national consciousness. In addition, both Korea and Japan share a commonality in that due to their rapid national economic progress, a surge of foreign labor has poured into the countries, thus creating a period of need for recognizing and mounting policies for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both countries face even more multiculturalization – increased foreign immigration – due to globalization and the aging of the societies.
However, both countries still possess a subpar level of language policies despite becoming multicultural societies, and in a long term view, solid language policy structures like that of Australia and Germany should be established in each respective country.
Therefore, a need for development of a new model is necessary to promote multicultural language policies Furthermore, the research finds it desirable for both countries that the advantages and the disadvantages of Korea's "top-down” language policy with Japan's “bottom up” policy be compared and contrasted in creating a consensual language policy.
Through this dissertation, the research hopes that future studies on the language policy in Korea and Japan be executed progressively more for in-depth field research, and to consequentially provide the basis for development of a bilateral model of mutual compromise between the two countries.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본격적으로 다문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사회를 위한 언어 정책과 언어 교육을 비교․분석하고 각 언어 정책의 장점과...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본격적으로 다문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사회를 위한 언어 정책과 언어 교육을 비교․분석하고 각 언어 정책의 장점과 단점을 밝혀 양국의 언어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장에서 한국의 다문화 정책과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에 관련된 연구, 일본의 다문화 사회의 언어 정책의 관련된 연구, 한일 다문화 정책, 언어 정책을 비교하여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정책의 개념과 언어 정책 제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문화 언어 정책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3장, 4장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언어 정책을 검토하기 위해 다문화 사회가 형성된 배경, 다문화 사회의 현황, 자국어 교육 정책의 목표, 언어 정책 시행체계, 정부차원의 교육 정책 현황, 지방차원의 자국어 교육 정책 현황, 이중 언어 정책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 4장에서 살펴본 것을 토대로 5장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언어 정책을 비교ㆍ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한일 언어 정책의 상호 절충식 언어 정책 모델 구축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한국과 일본은 단일 민족 의식이 강하고 혈통을 중시 여겨 외국인에 대해 차별과 배제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은 단기간의 급속적인 경제성장에 의한 외국인 노동자 유입, 다문화 정책 필요성이 인식되었던 시기 등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도 양국은 저 출산 고령화와 글로벌화로 인해 외국인 이주민이 더 늘어날 것이다.
그러나 양국은 아직 다문화 사회에 대한 언어 정책이 미흡하다. 그러므로 앞으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호주, 독일과 같이 확립된 언어 정책체계를 수립하여야 한다. 더불어 다문화 언어 정책을 추진하는 데에 새로운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의 ‘위에서 밑으로’의 언어 정책과 일본의 ‘밑에서 위로’의 언어 정책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상호 절충식 언어 정책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앞으로 한국과 일본의 언어 정책에 관한 연구가 더 심도 있게 진행되고 양국의 상호 절충식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가 넓게 다루어지기를 기대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