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들의 삶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그들이 한국생활에 적응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다양한 문화적인 요인들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들의 삶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그들이 한국생활에 적응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다양한 문화적인 요인들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한국생활에 적응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둘째,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한국 사회 환경에 정착하는데 출신국가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다문화가정 여성들의 자녀들은 한국생활에 만족하는 요인들은 어떠한가? 넷째,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이 자녀의 언어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다섯째, 다문화가정의 한국어 구사능력이 아동의 언어발달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대상자는 서산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여성 3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출신 국가는 중국(조선족, 한족),베트남, 일본, 필리핀, 태국,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미얀마 등 이었다. 이들은 설문 조사를 통하여 다문화가정의 삶과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은 t-test, 교차분석(X2) 및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론은 1) 경제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2) 다문화가정에 대한 사회문화적 지원으로 다문화 가족에 대한 고충 상담의 기관이나 상담활동이 요구된다. 3) 법적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4) 문화적인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 5) 이주국과의 교류를 확대해야 한다. 6) 다문화가정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6) 다문화 가정의 건강성 향상을 위한 가족단위의 교육과 프로그램의 지원체제가 필요하다. 7) 다문화가정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가 확충되어야 한다. 8) 상담 및 치료서비스의 확대이다. 9) 다문화가정 여성들의 사회활동 및 취업능력 강화를 해야 한다. 10) 청소년 지도자 대상 다문화교육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문화 가족이란 한 문화를 가진 사람이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의 문화에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문화가 존중받고 어우러지는 동화주의를 기본으로 하는 올바른 정책의 방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life-satisfaction of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actors that affect them to adapt in Korean society and various cultural factors. To fulfill this purpose, we set following problems. First, what factors affect wom...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life-satisfaction of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actors that affect them to adapt in Korean society and various cultural factors. To fulfill this purpose, we set following problems. First, what factors affec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adapt in Korean society? Second, is mother country of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ake differences of their adjustment? Third, what factors mak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atisfy with their living in Korea. Forth, how communication of coupl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ffects children from learning Korean. Fifth, how lingual ability have impact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is based on 341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Seosan. These 341 women are from China, Vietnam, Japan, Philippines, Thailand, Uzbekistan, Kazakhstan and Myanmar. We conduct questionnaires to understand life-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nalyzed through t-test, cross tabulation and ANOVA analysis.
Followings are main conclusion of this study.
1)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eeds financial aid.
2) Counseling activities and rooms are needed as a social security.
3) Legal system should be improved.
4) We should admit cultural differences.
5)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n and their mother countries should be expanded.
6) Educational aid is needed to multi-cultural families.
7) To make healthy multi-cultural families,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provided based on family unit.
8) Social security for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supported.
9) Counsel and Theraphy service should be provided.
10) Multi-cultural families specialist traing program should be initiated to youth leader.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cultural families do not mean that one person from different cultural base assimilates into major cultures. Thus, we need policy based on cultural relativism which means each culture is equally respected.
,韩语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