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말하기 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in develop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As a result, since 2000,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repeatedly asked English teachers to use English more frequently in class and move...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in develop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As a result, since 2000,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repeatedly asked English teachers to use English more frequently in class and move gradually toward using it exclusively or almost exclusively. From that time man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eachers' and student's opinions on TETE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However, compared to survey research, not many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s of TETE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speaking 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TE on speaking accuracy, fluency and completion.
This study will address the following four research hypothesis:
Firs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only in English will experience a higher level of accuracy than the control group taught in English and Korean.
Seco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experience a higher level of fluency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experience a higher level of completion tha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experience a higher level of affective domain than the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50 sixth-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in lower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26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4 students. Instructions were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in 40 minutes for eight week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me from both testings of students' speaking skills and affective domain.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and speaking skill were measured two tim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alyses of all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by t-test and Repeated Measures MANOVA for speaking, and t-test for affective domain.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verification of the four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could be the result of ample amount of input they had received throughout the class. This showed that in order for lower level students to improve their speaking skills, they should be exposed to the target language as much as possibl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glish should be the medium in speaking class.
In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i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ontext where students lack opportunities to build their English skills outside the classroom, classroom must be the source of input for the language. Teachers, therefore, should start making the maximal use of English in speaking class so that students can have lots of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the target language.In that way, students will gradually gain their language competence as well as confidence. The effects of TETE is just the beginning. For the effective English learning in Korea,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on how to implement TETE more effectively in class.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a continuous following research on TETE is needed using further in-depth research method. In that way, learners will be able to promote their learning more effectively and foster their interests on the language as well.

21세기 국제화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2000년 3월 교육부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

21세기 국제화 시대에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2000년 3월 교육부는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영어수업을 영어로 진행할 것을 강조했다. 그 후 지금까지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에 대한 교사·학습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진 반면 수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결과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차 영어 교육과정에서 중요시하는 의사소통 능력 중 말하기 기능 중심으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의 효과성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영어 수업에서 영어로만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학생들이, 한 국어와 영어를 혼용한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 학생들 보다 말하기 실 력의 정확성에 있어서 더 높은 향상도를 보일 것이다.
둘째, 초등학생의 영어 수업에서 영어로만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학생들이, 한 국어와 영어를 혼용한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 학생들 보다 말하기 실 력의 유창성에 있어서 더 높은 향상도를 보일 것이다.
셋째, 초등학생의 영어 수업에서 영어로만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학생들이, 한 국어와 영어를 혼용한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 학생들 보다 말하기 실 력의 수행과제완성도에 있어서 더 높은 향상도를 보일 것이다.
넷째, 초등학생의 영어 수업에서 영어로만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학생들이, 한 국어 영어를 혼용한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 학생들 보다 정의적 영역 측면 에 있어서 영어 말하기에 더 높은 흥미와 학습동기 및 태도를 보일 것이 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소재 H 공립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들로서 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4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학습자들에게는 영어수업을 영어로만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영어와 한국어를 6:4의 비율로 혼용해서 영어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은 두 집단 각각 주 3회 40분으로 실시하였고, 수업내용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한 검증은 말하기 실력과 흥미도 및 학습태도 영역에서 실시하였다. 말하기 평가는 사전·사후 두 번 실시하였고, 정의적 영역의 평가는 실험 전·후 설문지 및 사후 심화 설문지를 통하여 평가 하였다. 분석 도구는 말하기 평가는 t-검증과 반복측정 분산 분석(Repeated Measures MANOVA)을 이용하였고, 정의적 영역은 사전·사후 t-검증, 사후 심화 설문은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가설 검증 결과,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영어를 혼용한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 학습자들보다 말하기의 하위 영역인 정확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다. 즉 두 집단 모두 정확성에 있어서 실험 전 보다 실험 이후 향상도를 보였지만 실험집단 학생들의 향상도가 더 높게 나왔다.
두 번째 가설 검증 결과,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영어를 혼용한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 학습자들보다 말하기의 하위 영역인 유창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다. 이는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을 받은 학습자가 수업 진행 동안 영어적 사고방식에 익숙해 질 수 있었기 때문이며 영어를 많이 듣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초기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 중 유창성의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영어를 혼용한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 학습자들보다 말하기 실력의 수행과제완성도에 있어서 더 높은 향상도를 보일 것이다 라는 가설 3은 검증되었다. 두 번의 말하기 평가를 분석해 본 결과 영어로만 진행하는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학습자들이 수행과제완성도에 있어 더 높은 향상도를 보였으며, 이는 학습자들이 목표어 환경에 최대한 노출되면서 자연스럽게 주어진 상황에 필요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었음을 나타내며, 대화 시 적절한 내용을 선정하는 능력까지 향상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네 번째 가설 검증 결과,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영어를 혼용한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 학습자들보다 정의적 영역 측면에 있어서 실험 이후 영어 말하기에 더 높은 흥미와 학습동기를 보였다. 이러한 유의미한 결과로 실험집단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의 교실 현장에서 영어 말하기 수업을 영어로 진행하고자 할 때 학습자들이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해 불안해하거나 흥미를 잃지 않도록 교사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잘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알맞은 활동을 제공하고, 교수 시 수시로 학습자가 수업을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10주의 짧은 기간에 걸쳐 진행되었으나 보다 장기간 지속적으로 활용된다면 학습자들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며 궁극적으로 영어 교육의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