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materials containing both teaching-learning data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can be seen as a primary element in education. Korean learning materials of these days have been mainly developed into function-integrating materials on condition ...
Learning materials containing both teaching-learning data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can be seen as a primary element in education. Korean learning materials of these days have been mainly developed into function-integrating materials on condition that they should be used in classes of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Korean learning materials which take account of various teaching-learning situations and circumstances are being developed a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are perform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individual developers, and national institutions or local societies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too. In the functional part,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also takes account of the contents focused on language skills and purpose of learning, etc. to satisfy various requirements of learners.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self-study are designed to meet the circumstances of studying alone out of the classrooms inc iding other various learning situations. Learning out of the classrooms, which is performed without both teachers and co-learners, requires learners to interact directly with the materials in order to learn effectively.
With this reason,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self-study are supposed to include the function to provide learning contents as well as the role of stimulating learners, which guides learners to study by themselves. Therefore, Korean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more carefully designed to introduce learner-centered self-study because they don't have the same situation as formal classes have teachers, materials, and co-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the evaluation criteria which plays a role as a ground in developing better designed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self-study by examining the existing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self-study not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that are supposed to be used in the formal classes. In accordance, to set up the evaluation criteria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self-study, this thesis is composed of as follows;
In Chapter I,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setti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self-study are discussed through investigating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the learning materials.
In Chapter II, concepts of learning material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meaning of evaluating learning materials, and learner-centered study in language learning are discussed.
In Chapter III, prior to setting up the evaluation criteria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self-study, the concept and the functions of self-learning materials are described. The results of analyzing Korean learning materials of formal classes and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self-study are compared in order to find out the features of self-learning materials.
In Chapter IV, a few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self-study, which have already been developed, are evaluated on the criteria of the established principles in this thesis after setting up the evaluation principles and criteria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for self-study as well as the table of the evaluation criteria.
In Chapter V, the arguments discussed in former chapters are arranged as a conclusion of this thesis.
교육에 있어 교재는 교수-학습 자료와 방법을 담고 있는 가장 일차적인 교수도구라 할 수 있다. 과거의 한국어 교재들은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실 수업의 사용을 전제로 한 기능 통합형 교재...
교육에 있어 교재는 교수-학습 자료와 방법을 담고 있는 가장 일차적인 교수도구라 할 수 있다. 과거의 한국어 교재들은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실 수업의 사용을 전제로 한 기능 통합형 교재의 개발이 주를 이루어왔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과 환경 등을 고려한 교재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교재의 개발은 교육기관용 교재 개발에서 개인 개발자들이나 국가, 지역 등에 의한 개발로 확대되었고, 기능 통합형 교재 개발에서 언어의 기능별, 학습 목적별 교재 등과 같이 다양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교재의 개발로 그 범위가 넓어졌다.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습 상황 중, 교실 밖에서의 학습자 스스로의 학습에 대한 상황까지 전제한 것이다. 교실 밖에서의 학습은 교사와 동료 학습자들이 부재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학습자가 교재와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들은 학습 자료 제공의 기능과 함께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습 방법의 제시, 즉 촉진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들은 정규 과정에서의 교사와 동료 학습자, 교재가 동시에 학습을 이루는 상황보다 더욱 정교하게 학습자 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재 개발되어 있는 많은 한국어 학습 교재들 중 정규 과정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개발한 교재들이 아닌,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들을 대상으로 하여 보다 나은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들을 개발하는 데 있어 근거가 될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가 제시한 평가 기준을 현존하는 한국어 교재의 개선을 이룰 수 있게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한국어 학습자가 자가학습용 교재를 선택할 때 판단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제시하는 데에도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목차를 따라 진행되었다. Ⅰ장에서는 기존의 교재의 평가와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 설정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Ⅱ장에서는 외국어 교육에서 교재의 개념과 교재 평가에 대한 의의, 그리고 언어 학습에 있어서의 학습자 주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을 설정하기에 앞서 자가 학습 교재의 개념과 기능을 기술하고 자가 학습 교재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정규 과정의 한국어 교재들과 한국어 자가 학습 교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자가학습용 한국어 교재들의 평가 원리와 기준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평가 기준표를 구성, 현재 개발되어 있는 몇 권의 한국어 자가 학습 교재들을 연구에서 설정한 기준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Ⅴ장에서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