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구어 담화, 특히 구술발화의 연쇄적 전개 과정에 쓰이는 발화 결속 장치, 예컨대 완형 표현의 반복과 대용 표현에 대해서 고찰하여 비교하...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구어 담화, 특히 구술발화의 연쇄적 전개 과정에 쓰이는 발화 결속 장치, 예컨대 완형 표현의 반복과 대용 표현에 대해서 고찰하여 비교하였다. 구술 발화의 이상적이고 전형적인 전개 방식은 연쇄적 전개라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선행 발화에서 제시된 초점 정보 표현이 후행 발화에서 알려진 정보나 배경 정보로 바뀐 다음, 여기에 다시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는 발화 전개 방식을 말한다. 즉 선행 발화의 초점 정보는 다시 후행 발화의 알려진 정보로 나타나 연쇄적 전개의 고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선행 발화의 초점 정보를 배경 정보로 만드는 데, 주로 세 가지의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반복 지시, 대용 표현 지시, 제로 지시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배경 정보를 나타내는 방식은 적당한 연결사를 통해서 후행 발화와 일정한 의미적 문법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앞뒤 발화의 결속을 실현한다. 따라서 연쇄적 전개에 쓰이는 결속 장치는 구체적으로 ‘배경 정보(G)/연결사(C)'의 구성 방식으로 분석될 수 있다. 배경 정보를 나타내는 방식과 연결사의 유무에 따라 발화의 결속 장치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완형 표현의 반복(F/C), 대용표현(S/C), 제로 형 지시의 유표 결속( /C), 무표적 결속(). 본 연구에서는 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완형 표현의 반복(F/C), 대용 표현(S/C), 그리고 중국어에 많이 쓰이는 제로 지시의 유표적 결속에 대해서 논의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언어가 유표 결속의 사용과 결속 장치의 선택에서 보이는 차이점.
담화의 연쇄적 전개에서 유표의 결속 장치를 사용하는 비율에 있어 한국어와 중국어는 비슷하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 두 가지의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자연 발화의 특징과 관련이 있다. 자연발화에서는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달성하기 n이해서 대량으로 담화적 책략을 동원하는데, 고립어인 중국어도 예외가 아니다. 흔히 쓰이는 담화적 책략중의 하나로는 바로 발화 결속장치를 들 수 있다. 둘째, 중국어 구어 발화의 발전 추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결속 장치의 선택, 그리고 결속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방식에서는 차이를 보인다. 유표 결속을 실현하기 위해서 한국어에서는 대용어와 연결어미가 들어가는 결속 장치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중국어에서는 결속 장치의 사용, 구성 성분 및 구성 방식에 있어 복잡한 양상을 띤다. 발화 결속 표지와 구절 접속 표지는 서로 구별되어 쓰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발화 결속 표지가 나타내는 의미 관계는 고정적이지 않고 문맥 의존적일 수 있다.
둘째, 한국어에서 발화 결속 장치에 따른 ‘연결어미’의 의미 실현 경향.
한국어 발화 결속 장치에는 대용어와 연결어미가 대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데, 결속 장치의 유형에 따라 연결어미의 의미 실현은 서로 다른 경향을 보인다.
1. ‘계기’ 완형 표현의 반복
2. ‘양태 방법’ 대용 부사
3. ‘전환, 이유, 원인, 나열’ 등 제 삼의 의미 유형 결속 대용표지
한편, 발화 결속 장치로서 결속 대용표지는 구절 결속 장치로서 연결어미보다 의미 기능의 ‘단일화’, ‘전문화’ 경향을 보인다.
셋째, 결속 장치로서의 완형 표현의 반복과 대용 표현이 보이는 차이점.
완형 표현의 반복과 대용 표현은 선행 발화에 대한 지시, 후행 발화와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연결어미의 의미 실현, 그리고 결속 기능의 실현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종합적으로 말하면 완형 표현의 반복은 주로 의미적 층면의 결속에 기여를 하는 반면, 대용 표현, 특히 결속 대용표지는 일종의 담화적 책략으로 담화적 층면의 결속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