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안산시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논문은 다문화 가정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결혼이민여성 부부들의 결혼 경로와 동기는 무엇이고 그들이 느끼는 갈등 수준은 사회문화적, 개인적, 가족차원, 경제적, 종교적 요인...

이 논문은 다문화 가정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결혼이민여성 부부들의 결혼 경로와 동기는 무엇이고 그들이 느끼는 갈등 수준은 사회문화적, 개인적, 가족차원, 경제적, 종교적 요인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를 분석한 후 부부갈등예방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문화 가족과 한국인 가족을 지역 사회 커뮤니티의 구성단위이자 가족이라는 동일한 지평에서 접근할 수 있는 연구의 문제 틀을 모색하기 위해 내국인 주부 112명, 다문화가정주부 108명을 설문지와 인터뷰 면접을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은 7개 나라에서 결혼 이주를 하였는데 이중 베트남 주부들이 가장 많았다. 다문화 가정은 부부간의 연령차가 10년 이상 무려 20세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았고 내국인에 비해 이혼이나 별거 상태가 29%로 높은 편이었다. 학력은 다문화 가정에 저학력이 많았고, 직업이 없거(63.9%)나 노무 및 일용직의 사람들이 많았다. 가족형태를 보면 내국인은 90%이상이 핵가족인데 반해 다문화 가정은 시부모를 모시는 대가족이 20%를 넘는다. 결혼 동기와 결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내국인여성은 좋은 직장과 성격을 중심으로 만나 결혼결심에 이르고, 다문화 가정의 여성은 고국 부모의 경제적 도움을 주거나 한국국적을 취득해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해 국제결혼 동기가 되었다. 한국남성이 국제결혼을 결정하게 된 동기는 결혼비용이 적게 들어 결혼을 결심했다고 한다. 갈등분석은 내국인 가정과 다문화 가정 및 다문화 가정 중 해체가정과 결혼 유지가정간의 갈등차이를 T-test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문화적 갈등, 부부의 개인 특성요인의 갈등, 가족문제 갈등, 경제적 요인 갈등, 종교적 갈등 등 5개의 영역에 걸쳐 19개의 하위 갈등이 내국인과 다문화 가정 및 해체가정과 결혼유지가정간에 차이가 크게 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남편의 불안정한 직업과 낮은 소득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이 부부갈등의 결정요인이 되고 있었다. 이는 고국에서의 경제적 어려움을 탈피하고자 한국에 왔지만 이중 생활고가 갈등을 더 심화시킨 것으로 본다. 그 다음으로 언어능력의 미숙으로 인한 갈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언어가 모든 생각과 행위에 대한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되기 때문으로 고려된다. 개인 특성 면에서는 부인이 예쁘거나 매력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 여성이 결혼유지가 잘되고 있었다. 다문화 가정은 내국인에 비해 갈등수준이 리커트척도로 한 단계 높았으며, 특히 자기 가족을 자신보다 더 위할 때, 남편직장이 불안할 때, 가정 경제가 어려울 때, 남편의 외도로 인한 성적갈등, 등 내국인에 비해 갈등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연구 분석결과를 통해 앞으로 추진되어야 할 정부의 정책은 경제적 문제를 고려하여 다문화가정의 여성이 보다 적극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육아문제 및 가정의 소득 차, 결혼동기 등이 잘 배려된 경제적 관점에서의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문화 가정에서 그들의 빠른 정착과 가정의 안정을 찾기 위해서 바라는 요구를 보면, 생활안정 지원금과 직업알선(경제어려움과 직장불안 해소), 한국어 교육, 한국의 사회문화 구조에 대한 이해와 고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 인종차별, 육아문제 등이 중심 내용이었다. 이중 생활안정자금과 직업알선 및 한국어 교육은 국가가 예산배정을 통해 해결 할 수 있는 정책적 차원의 문제이고 한국의 사회문화와 고국의 문화 및 인종차별의 문제는 사회의 전반에서 꾸준히 홍보하고 관심을 가지면 좀 더 빨리 해결 될 수 있을 문제로 본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몇 개의 요인들이 서로 연계하여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갈등을 해결하려하지 말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사회 거버넌스(social governance) 차원에서 상호 연계 속에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immigrant women for their marital conflict factors at their multi-cultural homes as well as for the paths of and motives for their marriage and thereupon, analyze how their marital conflicts would differ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immigrant women for their marital conflict factors at their multi-cultural homes as well as for the paths of and motives for their marriage and thereupon, analyze how their marital conflicts would differ in terms of socio-cultural, personal, family, economic and religious factors, and thereby, suggest the solutions to their marital conflic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and an interview with 112 Korean housewives and 108 immigrant housewives. The immigrant housewives had been from 7 nations among which Vietnam women accounted for most of the immigrant housewives. At the multi-cultural homes, the difference of age between husbands and wives was more than 10 years and even more than 20 years, while the ratio of divorce or separation was 29%,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 housewives. Most of the immigrant wives had lower academic backgrounds, and most of them were jobless (63.9%) or part-time workers. In view of the family forms, more than 90% of the Korean housewives had nuclear families, while more than 20% of the immigrant housewives were supporting their parents-in-law. Upon surveying subjects' motives for and decision on marriage, the Korean women tended to meet their would-be husbands in consideration of job status and personality and decide on marriage, while immigrant women decided on the international marriage to help their parents at home economically or acquire the Korean nationality.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Korean men decided on the international marriage because of the lower wedding cost. In order to analyze the marital conflicts, the researcher conduct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the marital conflicts among Korean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maintained and those broke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19 sub-conflicts across 5 areas - socio-cultural, personal, family problem, economic and religious conflicts. Particularly, immigrant housewives' marital conflicts were primarily attributable to the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husbands' unstable job and low income. Their marital conflicts seemed to be worsened due to betrayal of their expectation of better life, escaping from the financial difficulties at home. Next, their marital conflicts were attributable to their poor linguistic competence, which confirms that language is a tool of communication about every thought and behavior. In view of personal factors, those immigrant housewives who were beautiful or attractive were living their marital life well. The level of the marital conflict suffered by the immigrant housewives was a step higher than that suffered by the Korean housewives on the Likert scale. Particularly, their level of the marital conflicts was far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 housewives in case their husbands loved their family members more, their husbands' job was unstable, the financial conditions of their families were hard, or in case their husbands were womaniz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eived that the government would be obliged to design and implement the policies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in consideration of child-rearing problems, gap of family incomeems, garital motives, so that the immigrant housewives could be engaged more positively in their economic activities. Immigrant housewives' needs for their earlier settlement ms, stable family life wemilyummed up earlillows;d upsidies for their stable living, job replacement (solutions to financial hardship ms, unstable job life), ereaation of the Korean language, more opportunities to better er erstms, Korea's seir stable li strearure as, geet their native table e, cialef from racism, support to child-rearing, etcs' engagthem, supsidies for stable living, job replacement ms, Korean language ereaation are the policy-level problems which can bilyolved by government's budget, while ererstmsing of Korea's society and culture, access to the native culture and relief from racism may be realized if our society should be concerned more with them, while publicizing them steadily. However, since several factors are linked with each other to affect each other, it is deemed wise not to solve a conflict alone but to solve them all through mutual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in the dimension of 'social governance.'

韩语论文网站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