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언어일반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언어간을 비교하였고 언어의 일반적변수인 발음변수와 의미변수의 상대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언어간의 비교는 세 실험으로 나누었는데 실험1은 ...
본 연구는 언어일반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언어간을 비교하였고 언어의 일반적변수인 발음변수와 의미변수의 상대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언어간의 비교는 세 실험으로 나누었는데 실험1은 한글과 한자를 비교하여 표의적 유관성을 확인하였고, 실험2는 한글과 순한글을 비교하여 표음적 유관성을 확인하였고, 실험3은 영자어와 한글을 비교하여 표음적 유관성을 재차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두 언어의 특성으로 인하여 직접적으로 그 효과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결론지을 수 있다.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는 언어의 일반성은 언어간 비교에서 검토될 수 있었고 그 일반성은 발음변수와 의미변수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두 변수의 상대성은 점화과제로 측정될 수 있었다. 문자분류체계로 표의적 차원과 표음적 차원이 논의되었는데 역시 한자와 한글은 표의적 차원에서 연계되고 순한글은 표음적 차원에서 연계되며, 영자어는 표음적 차원에서 연계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문자의 체계에서 표음적 차원과 표의적 차원에 대한 이론이 다양하다. 이 이론들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표음적 차원과 표의적 차원은 한 속성의 양극단이라고 보는 체계가 있고 이 두 차원이 서로 직교하는 질적으로 다른 속성이라는 체계가 있다. 본 연구는 한글단어와 한자단어는 표의적으로 연계되고, 한글단어와 순수한글단어는 표음적으로 연계되며, 한글단어와 영자단어는 표음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점을 보면 표음적 차원과 표의적 차원은 언어간을 비교하는데 서로 직교하고 질적으로 다른 차원이라는 것을 시사하였다.
둘째, 실용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외국의 습득의 가능성과 교육프로그램에 시사점을 줄 수 있었다. 세계의 언어가 다양하지만 그 일반성을 보면 발음적 변수와 의미적 변수에 의해 심리적으로 처리 되고 있었다. 이 두 변수가 언어간에 심리적으로 처리 될 수 있다. 이 두변수가 언어간에 전이한다면 한 언어를 모국어로 해 다른 언어를 습득할 때 이 두 변수에 의존하여 외국어 습득이 가능하다는 것이 시사된다. 또 두 언어간에 연계 되는 발음변수와 의미변수의 상대적인 비중에 따라 외국어 습득의 프로그램이 두 변수 중 어느 변수를 우선할 것인지가 시사된다. 본 연구를 보면 한글단어와 한자는 상대적으로 의미변수에 연계되었고, 한글단어와 영자는 발음변수에 연계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한국인은 한자어를 습득할 때 의미변수에 치중하고, 영자어를 습득할 때 발음변수에 치중하는 학습 및 교육프로그램이 적정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변수의 조작문제와 비교할 언어의 선택문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발음변수와 의미변수는 서로 다른 언어의 특성상 제한적으로 조작될 수밖에 없었다. 의미변수는 의사소통이라는 언어의 속성으로 쉽게 조작될 수 있었다. 한글단어는 의미가 같거나 유사한 한자어와 영자어와 비교될 수 있었다. 발음변수는 서로 다른 언어의 발생, 발달과정에서 미친 상호영향에 따라 비교하기가 달랐다. 한글단어는 한자와 발음적으로 같거나 유사한 한자단어와 비교되기는 쉬웠으나, 영자단어와는 발음적으로 비교하기 어려웠다. 앞으로 발음변수는 언어간의 비교에서 그 조작에 대한 주의와 조작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이 해독할 수 있는 한자어와 영자어만을 한글단어와 비교하였다. 언어의 일반성을 더욱 검토하기 위해서는 다른 언어와의 비교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한국에 거주하면서 한국어에 익숙한 외국인을 피험자로 하면 한글단어와 일어 등 그 이외의 외국어까지 비교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tried to compare various orthographies(in comparison of Hangeul words to Chinese character words, Pure Hangeul words, and English letter words) for psycholinguistic analysis. The language is only linguistic if it is regarded as means of ...
This research tried to compare various orthographies(in comparison of Hangeul words to Chinese character words, Pure Hangeul words, and English letter words) for psycholinguistic analysis. The language is only linguistic if it is regarded as means of communication but it is the psychological matters as it is acts of mind.
The study regarded the language as the psychological matters to analyzed it with the psychological experiments. They are the matching tasks to judge the relationship(YES or NO) between the prime pre-presented and the target post-presented. Experiment 1 had Hangeul words of the prime and Chinese character words of the target, Experiment 2 had Hangeul words of the prime and pure Hangeul words of the target, and Experiment 3 had Hangeul words of the prime and English letter words of the target, Reviewing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mantic relationship influenced on Chinese character words even in phonological matching, and that the phonological relationship influenced on pure Hangeul words even in sematic matching. As this analysis, the relationship, other from the matching criteria influenced in unconsciousness. So it is defined as the intrusion effects. With the intervention effect analyzed, it is suggested that Chinese character words are related with Hangeul words in sematic basis, and that pure Hangeul words are related with Hangeul words in phonological basis.
The intervention effect defined in this research is a psychological fact in analysis of language processes. This conception is applied not only to language but also to other psychological phenomena. The influences of the mass-media and the change trend of mass-opinion may be explained in conceptualization of intrusion as they are psychological and linguistic.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