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시간’ 속성과 모형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이 논문은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시간 개념의 의미론적 속성과 그 모형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는 Evans(2004)의 “인간은 특정한 사건 내에서 시간을 인지한다.”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 ...

이 논문은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시간 개념의 의미론적 속성과 그 모형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는 Evans(2004)의 “인간은 특정한 사건 내에서 시간을 인지한다.”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시간 개념의 의미론적 속성과 그 모형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나는 현대 국어 어휘 ‘시간’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이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언어학에서는 개념적 은유를 통해 추상적인 개념인 시간을 설명하였으며, 심리학과 신경과학에서는 시간을 사건 내에서 발생하는 주관적 사건으로 보았다.
2장에서는 시간의 속성을 일차적, 이차적 속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일차적 속성은 시간의 내적인 속성으로 지속성, 순간성, 실례성, 사건성, 자연성으로 나타났다. 지속성은 시간의 중심 의미를 구성하며 시작과 끝의 간격을 나타낸다. 순간성은 그러한 지속의 간격에서 한 점으로 인지되는 속성으로 사건의 변화와 관련 있다. 또한 순간성이 여러 차례 발생하는 것으로 인지된다든지, 처음과 끝의 한 점으로 인지되는 것을 각각 실례성과 사건성의 속성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연성은 사건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자연적인 시간의 흐름이다. 이러한 속성들은 시간의 일차적 속성을 나타내고, 인간 인지의 중심적인 측면을 나타낸다. 둘째, 이차적 속성에는 사물성, 측정성, 상품성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가 실제로 관찰 가능한 구체적인 대상에 빗대어 시간을 나타낸 것으로, 개념적 은유와 같은 기제로 설명해 온 시간의 속성이다. 이처럼 시간이 일차적인 속성을 갖고 있다는 점은 시간의 본질을 좀 더 정확히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3장에서는 시간 모형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시간을 인식하는 것은 공간 내에서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과 관련되다. 즉, 이는 시간 지향 은유를 통해 나타나며, 앞, 뒤, 위, 아래와 같은 방향에 의해 우리는 과거, 현재, 미래를 인지한다. 시간 지향 은유를 바탕으로 나타난 시간 모형은 시간 이동 모형, 자아 이동 모형의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시간 이동 모형은 시간이 이동한다고 이해되는 모형인데, 이 모형에서 관찰자는 현재 위치에서 시간을 관찰한다. 즉, 시간의 흐름이 미래에서 과거로 관찰자를 거쳐서 이동하는 모형이다. 앞에서 살펴본 시간 속성 중 지속성, 순간성, 사건성, 자연성, 사물성, 측정성이 이 모형에 속한다.
둘째, 자아 이동 모형은 관찰자인 자아가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관찰자는 현재 위치에서 특정한 시간에 이동하는 것으로 도식화된다. 이 모형에서는 지속성, 순간성, 실례성, 사건성, 측정성, 상품성이 나타난다. 시간 모형에서 나타난 시간의 속성을 살펴본 결과, 시간 속성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는데, 우리가 인지하는 시간의 속성이 두 모형 간에 인식되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와 같은 연구는 추상적인 시간의 근본적인 속성을 밝히고, 시간의 속성이 한국어 ‘시간’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밝히려는 시도이다. 시간은 일차적 속성과 이차적 속성을 가지며, 시간 모형은 시간 이동 모형과 자아 이동 모형으로 나타난다. 또한 시간의 속성은 시간 모형에서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 속성들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ime Sense and the application of the model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tems from the hypothesis of Evans (2004); “We cognize Time in particular events.” Through this study the cognitive sense of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ime Sense and the application of the model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tems from the hypothesis of Evans (2004); “We cognize Time in particular events.” Through this study the cognitive sense of time and the models in Korean will be clarified.
In Chapter 1, firstly,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concept of time are overlooked, focusing on the use of a lexical item ‘시간 shi-gan’ in modern Korean. Conceptual metaphor is used as an attempt to explain such abstract concept as time.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neuroscience, it is understood that time is a subjective phenomenon and cognized in particular events.
In Chapter 2, the two senses of time, which are suggested in Evans (2004), are discussed. They are the ‘primary sense’ and the ‘secondary sense’: At first, the ‘primary sense’ is internal in the sense of time, which is, in turn, subcategorized with the senses of ‘duration’, ‘moment’, ‘instance’, ‘event’, and ‘nature’. The ‘duration sense’ is a prototype in the concept of time, and it refers to the interval between onset and coda. The ‘moment sense’ is a point in a dur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shifts of events. In the moment sense, we can cognize one event happening several times or the onset and the coda as one point. These are referred as the ‘instance sense’ and the ‘event sense’. And the ‘natural sense’ is related to the natural flow of time surrounding the events. These senses represent the ‘primary senses’ of time, and are in the center of human cognition. Secondly, the senses of ‘object’, ‘measurement’, ‘commodity’ belong to the ‘secondary sense’. These are the senses of time that can be explained with the theory of conceptual metaphor. Based on these two senses, the nature of time can be understood and interpreted in depth. It also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ime in our everyday life.
In Chapter 3, the models of time are investigated. The models tell that our cognition of time is observed from the actions in the space. This is proved through the metaphor of ‘time orientation’. There are two time models based on the metaphor of ‘time orientation’; the ‘time-motion’ model and the ‘ego-motion’ model. First, the ‘time-motion’ model shows that we perceive time in motion. It schematizes the observer situated at the ‘present’ time. In this model, ‘time flows from the ‘future’ to the ‘past’, passing through the observer situated at present. This model also presents the unified senses of duration, moment, event, and nature with the senses of object, measurement. Second, the ‘ego-motion’ model reveals that we perceive the ego as a moving thing. It schematizes the observer moving from the present time toward the event. In other words, the flow of time is fixed within the specific event while the observer is moving toward it. This model unifies the senses of duration, moment, instance, and event with the senses of measurement and commodity.
In conclusion, in the last chapter, the Time Sense and the models are summarized. Through this stud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explain the features of the abstractive concept of time, and to apply and verify the time models in the Korean language.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