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語 溫度形容詞에 관한 硏究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硏究의 目的은 日氣豫報를 할 때에 溫度形容詞가 使用되는 樣相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 硏究에서는 2008년에 방송된 ‘KBS 뉴스9’의 日氣豫報에 쓰인 ‘춥다, 쌀쌀하다, 서늘하다, 선...

이 硏究의 目的은 日氣豫報를 할 때에 溫度形容詞가 使用되는 樣相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 硏究에서는 2008년에 방송된 ‘KBS 뉴스9’의 日氣豫報에 쓰인 ‘춥다, 쌀쌀하다, 서늘하다, 선선하다, 시원하다, 포근하다, 따뜻하다, 덥다, 무덥다, 후텁지근하다’ 등 10개의 溫度形容詞의 使用 樣相을 季節과 氣溫을 중심으로 考察하였다. 그 結果를 要約하여 적으면 다음과 같다.
‘춥다’는 가을 중반부터 봄 초반에 걸쳐 사용되며 주로 氣溫이 영하권에 머무는 상태에서 쓰인다.
‘쌀쌀하다’는 가을, 겨울, 봄, 세 季節에 걸쳐 사용되며 주로 아침 기온이 5~15도 안팎인 상황에서 쓰인다. 이것은 특히 바람이 불거나 비가 내리는 상황, 흐린 상태에서 쓰인다.
‘서늘하다’는 다른 溫度形容詞에 비하여 그 使用 比率이 낮게 나타나는데, 봄에 바람이 불어서 상대적으로 기온이 떨어진 상태에서 쓰인다.
‘선선하다’는 봄, 여름, 가을, 세 季節에 걸쳐 사용되며 기온이 10~20도 안팎인 상황에서 쓰인다. 이것은 특히 바람이 불거나 비가 내리는 상황, 아침저녁, 밤사이의 기온을 나타낼 적에 쓰인다.
‘시원하다’는 다른 溫度形容詞에 비하여 낮은 頻度로 사용되는데, 기온이 높은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을 나타낼 때에 쓰인다. 예를 들어서 여름 8월에 햇볕이 강하고 ‘불볕더위’라는 표현이 쓰일 정도로 기온이 오른 상황에서 나무그늘의 기온을 표현할 적에 쓰인다.
‘포근하다’는 가을, 겨울, 봄, 세 季節에 걸쳐 사용되는데, 2월과 3월에 가장 많이 쓰인다. 이것은 낮 기온이 5~15도 안팎인 상황에서 쓰인다.
‘따뜻하다’는 가을, 겨울, 봄, 세 季節에 걸쳐 쓰이는데, 특히 3월과 4월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것은 낮 기온이 15~20도 안팎인 상황에서 쓰인다.
‘덥다’는 봄, 여름, 가을 세 季節에 걸쳐 사용되며, 낮 기온이 25~30도 안팎인 상황에서 쓰인다.
‘무덥다’는 주로 여름에 사용되며 낮 기온이 30도를 넘은 상황에서 쓰인다. 이것은 ‘덥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氣溫과 濕度가 더 높은 상황에서 쓰인다.
‘후텁지근하다’는 여름에 사용되며 주로 낮 기온이 30도 안팎인 상황에서 쓰인다. 이것은 특히 ‘무덥다’보다 氣溫과 濕度가 더 높아진 상황에서 쓰인다.
앞으로는 더 많은 資料를 對象으로 硏究가 진행되어야 하며, 通時的인 觀點에서도 考察을 하여야 한다. 또한 이 硏究의 結果를 바탕으로 韓國語와 日本語의 溫度形容詞의 比較 硏究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in which temperature adjectives are used in the Korean languag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en temperature adjectives: '춥다(chubda)', '쌀쌀하다(ssalssalhada)', '서늘하다(seoneulhad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in which temperature adjectives are used in the Korean languag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en temperature adjectives: '춥다(chubda)', '쌀쌀하다(ssalssalhada)', '서늘하다(seoneulhada)', '선선하다(seonseonhada)', '시원하다(siwonhada)', '포근하다(pogeunhada)', '따뜻하다(ttatteushada)', '덥다(teobda)', '무덥다(mudeobda)', '후텁지근하다(huteobchigeunhada)'. These adjectives were used in the weather forecast in 'news 9', broadcasted by KBS(Korean Broadcasting System) in 2008. I analyzed usage patterns with regard to seasons and tempera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춥다(chubda)' is used from middle autumn to early spring. And it is mainly used at temperatures lower than 0 degrees centigrade in the winter.
'쌀쌀하다(ssalssalhada)' is used from autumn to spring, and is mainly used at temperatures from 5 to 15 degrees centigrade in the morning, especially in windy, rainy or cloudy weather.
'서늘하다(seoneulhada)' is used less frequently than other adjectives. It is used in the spring and in windy conditions.
'선선하다(seonseonhada)' is used from spring to autumn, and is used temperatures from 10 to 20 degrees centigrade. And it is used especially frequently during windy and rainy weather during the morning, evening and night.
'시원하다(siwonhada)' is used less frequently than other adjectives. It is used to express that temperatures are lower under a tree when the temperature is over 30 degrees centigrade in the summer.
'포근하다(pogeunhada)' is used from autumn to spring. It is mainly used in February and March, and is used at temperatures from 5 to 15 degrees centigrade in the daytime.
'따뜻하다(ttatteushada)' is used from autumn to spring. it is mainly used in March and April, and is used at temperatures from 15 to 20 degrees centigrade in the daytime.
'덥다(teobda)' is used from spring to autumn, and is used at temperatures from 25 to 30 degrees centigrade in the daytime.
'무덥다(mudeobda)' is mainly used in summer especially in July. It is used at temperatures over 30 degrees centigrade, especially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s higher than '덥다(teobda)'.
'후텁지근하다(huteobchigeunhada)' is used in summer, and is used at temperatures around 30 degrees centigrade. It is mainly used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higher than '무덥다'.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regarding how temperature adjectives are used in other materials and temperatures adjectives should also be analyzed from a diachronic point of view. In addition, I will conduct a comparison of usage patterns of temperature adjectives in Korean and Japanes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