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purposed to find difficulties in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home and overseas resulting from problems in teacher education, teachers’ specialty, etc.,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guidebooks desired by teachers through cond...
This study purposed to find difficulties in systema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home and overseas resulting from problems in teacher education, teachers’ specialty, etc.,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guidebooks desired by teachers through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er’s guidelines through analyzing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Chapter I reviewed previous research on education and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explained the necessity of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Chapter II examined the roles of teachers and guideboo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d special qualities required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chapter inquired into what roles teachers play in Korean language class and what roles guidebooks play to assist teachers’ roles.
Chapter III analyzed data from a questionnaire surve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t home and overseas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teacher’s guidebooks. The survey also asked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guidebooks.
Chapter IV analyzed 6 kinds of existing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focused on their structure content , unit contents, teaching procedure, and appendixes, based on the textbook analysis method proposed by Lee Hae‐yeong (2001) and referring to ‘Criteria for the Accreditation of Teacher’s Guidebooks’ (2007) and criteria for evaluating teacher’s guidebooks’ proposed by Valadez (1989) and Bae Du‐bon (1997). In addition, we analyzed 5 kinds of teacher’s guidebooks and compared the results.
Lastly, Chapter V made suggestions for improving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n Chapter III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other teacher’s guidebooks in Chapter IV.
From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mos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teacher’s guidebooks and examined how to develop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study determined the necessity of teacher’s guidebooks, and identified problems in teacher’s guidebooks through comparison between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other teacher’s guidebooks. Suggestions in this study for selecting and improving the contents of teacher’s guidebook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developing guidebook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본 연구는 국내 또는 국외에서 한국어 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 교사교육, 교사 전문성 등의 문제로 인해 체계적인 한국어교육의 어려움을 지적하고,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
본 연구는 국내 또는 국외에서 한국어 교육을 실행하는데 있어 교사교육, 교사 전문성 등의 문제로 인해 체계적인 한국어교육의 어려움을 지적하고,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들이 원하는 지침서의 내용을 살펴본 후 한국어 교사용 지침서 분석을 통해 수업을 돕기 위한 교사용 지침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한국어 교사 교육과 교사용 지침서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교사용 지침서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 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와 지침서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교사가 갖추어야할 전문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살펴봄으로써 지침서가 교사들이 수업진행을 하는데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현직 국내외 한국어 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용 지침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지침서에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이해영(2001)이 제시한 교재 분석 방법에 틀을 두고 ‘교사용 지도서 편찬상의 인정기준(2007)’과 Valadez(1989), 배두본(1997)이 제시한 ‘교사용 지침서 평가 기준’을 참고하여 현행 한국어 교사용 지침서 6종을 교사용 지침서 내용구성, 단원 내용, 교수 절차, 부록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기타 교사용 지침서 5종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끝으로 5장에서는 3장에서의 설문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와 4장에서의 한국어 교사용 지침서와 기타 교사용 지침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한국어 교사용 지침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교사용 지침서에 대해 한국어 교사들 대부분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과 한국어 교사용 지침서를 개발하기 위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었다.
교사용 지침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교사용 지침서와 기타 교사용 지침서의 비교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교사용 지침서 내용 선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는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한국어 교사용 지침서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韩语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