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에서 종조사(終助詞)는 회화를 자연스럽게 구성하는 중요 요소로, 의문·명령표현 등의 구성에 관여하는 기능 외에도 상대방 정보와의 관계에 따라 사용되는 전달 기능도 가지고 있...
일본어에서 종조사(終助詞)는 회화를 자연스럽게 구성하는 중요 요소로, 의문·명령표현 등의 구성에 관여하는 기능 외에도 상대방 정보와의 관계에 따라 사용되는 전달 기능도 가지고 있다.
외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는 이러한 종조사의 오용이 발생되기 쉬우며 일본어 학습 시 하나의 장벽이 되고 있다. 실제로 상급수준의 일본어 학습자와의 대화에서도 어떤 종조사를 편중되게 많이 사용하거나, 「ね」와「よ」를 혼동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종조사 중 특히 사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된 「か」 「さ」「な」「ね」「の」「よ」「わ」를 대상으로, 각각의 종조사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본고는 전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 과제, 선행연구, 연구방법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모달 리티(modality)의 관점에서 종조사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종조사는 대인적(対人的)모달리티에 해당되는데 그 기능의 차이로 더욱 상세한 분류가 가능하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종조사의 공기 (共起)관계에 대하여 고찰한다. 종조사가 다른 표현형식과 공기할 경우에는 어떤 관계로 결합되는지, 또한 공기하지 않는 경우는 어떤 요소에 의해 공기할 수 없는 것인지에 대하여 검토한다. 제4장에서는 무표형식(無標形式)에 관한 고찰을 시도하고 있다. 종조사와 같이 전달기능을 가지고 있는 무표형식, 회화에서의 억양(intonation)과 종조사의 관련성에 대하여 고찰한다. 제5장에서는 문말에 사용되어 종조사적인 기능을 가지게 되는 접속조사(接続助詞) 및 간투조사 (間投助詞) 혹은 병렬조사(並列助詞)와 종조사의 관련성 등에 대하여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총괄하여 결론을 제시 한다.
이와 같이 종조사의 연구는 모달리티와 같은 일본어 문(文)의 구성과의 관련에서 파악하거나 각각의 의미 용법상의 차이, 기능면에서 구별할 수 있다는 점이 본고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로, 본 연구가 일본어 학습자의 종조사 학습에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Final Particle is necessary as element constituting a natural conversation in Japanese. However, The Final Particle in Japanese has its function in delivery used according to relations to information of other party in addition to its function comp...
The Final Particle is necessary as element constituting a natural conversation in Japanese. However, The Final Particle in Japanese has its function in delivery used according to relations to information of other party in addition to its function completing interrogative or imperative sentences. This is where foreign learners are likely to make mistakes and is one of the barriers in learning Japanese. In fact, there are sometimes cases that The Final Particle on one party is much used in propensity in conversations with those considered to be seniors or that ne(ね) and yo(よ) are used in confusion. This study will explore The Final Particle such as ka(か), sa(さ), na(な), ne(ね), no(の), yo(よ) and wa(わ) which are considered to be of high frequency in use and review what functions are held by each in particular.
This study is composed of 6 chapters. In Chapter 1, Introduction describes the subject of this study,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methods. In Chapter 2, a study into The Final Particle is attempted in the perspective of modality and the question of how The Final Particle is dealt in Japanese composition is described in particular. While it is considered that The Final Particle belongs to inter-personal modality, it is intended to clarity that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is possible based on differences in functions. In Chapter 3, co-occurrence relation of The Final Particle is explored. Questions reviewed include in which relation The Final Particle is combined when co-occurring with other sentences and which element included in The Final Particle prevents co-occurrence when it does not co-occur. Chapter 4 attempts to study the unmarked form. In the unmarked form, there are cases of possession of delivery function just like The Final Particle or that intonation has functions that are same to delivery in conversation, and such delivery functions and their relations to The Final Particle are explored. In Chapter 5, cases of having functions of those of The Final Particle when a conjunction is used at the end of a sentence or relations between interjectory particles or parallel particles with The Final Particle are described. Finally, Chapter 6 sums up and draws conclusions.
This maintains that a study of The Final Particle can be identified from construction of a Japanese sentence such as modality or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in terms of functions held by each as well as differences of meaning held by each.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a little help to Japanese learner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