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 사용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7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on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of adverbial case markers, and the actua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case marker errors resulti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language and Japanese language on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of adverbial case markers, and the actua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dverbial case marker errors resulting. For it, this study had notes of meanings even for non-errors as well as errors for adverbial case markers shown in the Japanese learner's corpus, and then the use of adverbial case markers by type‧usage and errors in each usage were analyzed. Also, the study tried to exclude the researcher’s subjective judgment as much as possible by utilizing the Korean native speaker corpus and a comparative corpus in the error determination process, Adverbial case markers for analysis in this study are ‘e’, ‘eseo’, ‘(eu)ro’, ‘ege/hante(seo)’, and the usage for analysis is an use of ‘place’, ‘time’ and ‘object’. As the analysis method, error types predicted by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were extra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actual errors in Japanese learners’ corpus.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the error type (a predicted error matched the actual error) was deemed as the error caused by interlingual transfer. Focused on i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lingual transfer shown in the use of Japanese leaners’ use of adverbial case markers were analyzed with the main usage and proficiency of adverbial case marker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indicated that the error rate (the contrastive analysis result was equal to the learner’s corpus analysis result) was about 77.2% of Japanese learners’ adverbial case marker errors. It was also shown that the most part of Japanese learners’ adverbial case market errors were caused by the effect of Japanese language. The type of interlingual transfer error resulting from Japanese learners’ use of adverbial case markers had close relevance with the tiered response relation of Japanese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in each us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rror type depending on the usage. Besides, In Japanese learners’ corpus, there were multiple errors of excessively using the adverbial case markers instead of other case markers. As the analysis result, there were errors caused by intelingual transfer. In terms of proficiency, Japanese learners caused many adverbial case marker errors due to the interlingual transfer from the level 2 after they completed to learn the main adverbial case markers. It was indicated that the errors were a little reduced at the level 6 but the errors were caused by the effect of Japanese language even at the advanced level. It seems to mean that Japanese learners did not thoroughly learn the contents of the level 2 and the interlanguage created by their native language continuously affect the advanced level.

연구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성이 일본한국학습자의 부사조사의 용법별 사용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그로 인해 발생한 부사조사 오류의 실제 유형과 그 특징을 밝히는 데...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성이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의 용법별 사용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그로 인해 발생한 부사격 조사 오류의 실제 유형과 그 특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부사격 조사에 대해 오류뿐만 아니라 비오류에 대해서도 그 의미를 모두 주석하여 부사격 조사의 형태별‧용법별 사용과 각 용법 내에서의 오류를 분석하였다. 또 오류 판정 과정에서는 한국어 모어화자 말뭉치를 비교 말뭉치로 활용하여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을 최대한 배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에’, ‘에서’, ‘(으)로’, ‘에게/한테(서)’이며, 분석 용법은 ‘장소’, ‘시간’, ‘대상’ 용법이다. 분석 방법은 우선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 분석을 통해 예측되는 오류 유형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일본인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실제 오류와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예측 오류와 실제 오류가 일치한 오류 유형을 언어 간 전이로 인한 오류로 보고 이를 중심으로 일본인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 사용에서 일어나는 언어 간 전이의 유형과 특징을 부사격 조사의 주요 용법과 숙달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조 분석 결과와 학습자 말뭉치 분석 결과가 일치한 오류의 비율이 일본인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 오류의 약 77.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본인 학습자가 일으키는 부사격 조사 오류의 상당 부분이 일본어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일본인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 사용에서 나타난 언어 간 전이 오류의 유형은 각 용법에서의 일본어와 한국어의 층위별 대응 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용법에 따라 주로 발생하는 오류 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한편 일본인 학습자 말뭉치에서는 다른 격조사 대신 부사격 조사를 과잉 사용한 오류도 다수 발견되었는데 분석 결과 주로 언어 간 전이로 인해 발생한 오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도의 측면에서 일본인 학습자들은 주요 부사격 조사의 학습이 완료된 2급 이후 언어 간 전이로 인한 부사격 조사 오류를 더 많이 일으켰으며, 6급에서 다소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고급 단계에서도 여전히 일본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인 학습자들이 2급에서 학습한 내용을 충분히 습득하지 못한 채 모국어에 의존하여 형성한 중간언어가 고급 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