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음주·흡연 경험 유무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self-esteem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and experiences of drinking alcohol and smo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self-esteem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and experiences of drinking alcohol and smo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useful material future studies on relationship berween student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self-esteem.
Study questions se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attachment to parents hav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individual varying factors(gender, experiences of drinking alcohol and smoking)?
Second, does self-esteem have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individual varying factors(gender, experiences of drinking alcohol and smoking)?
The questionnaires are given out to 245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Kyounggi province to analyze these. 128 boys and 94 girls ,totally 222 students, are finally analyzed. Originally the measuring instrument "The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is made by Armsden and Greenberg(1987). In 1997, it is translated into Korean by Ok-jung. Then the Korean version "The inventory of self-esteem(Kim Hee-hwa and Kim Kyoung-yeon, 1998)" for Korean children and teenagers is used for questionnaires. 222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depending on the types of fac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attachment to father or mother according to gender, there are little meaningful differences in attachment to father, but in attachment to mother, girls obtain higher scores than boys showing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lso, the students who have the experiences of drinking and smoking obtain lower scores in both attachment to father and mother than the students who don't.
Second, there are generally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self-esteem according to gender. However, while girls obtain higher scores than boys in peer-related self and home self of the sub-areas of self-esteem, boys obtain higher scores than girls in personality self. In the mean time, the students who have the experiences of drinking and smoking obtain generally lower scores than the students who do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attachment to their parents and self-esteem according to gender and experiences of drinking alcohol and smoking. The resul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participate in anti-smoking and anti-drinking programs. It also implies that programs for improving teenagers' self-esteem should go side with them.

연구의 목적은 남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과 자아존중감을 음주 ․흡연 경험 유무중심으로 고찰하여,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

연구의 목적은 남녀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과 자아존중감을 음주 ․흡연 경험 유무중심으로 고찰하여, 청소년의 부모에 대한 애착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애착은 성별, 음주 경험 유무, 흡연 경험 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은 성별, 음주 경험 유무, 흡연 경험 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를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1개 중학교 전학년 24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했으며, 최종 분석 대상은 남학생 128명, 여학생 94명으로 총 222명이었다. 측정 도구는 Armsden와 Greenberg(1987)가 제작한 척도를 옥정(1997)이 한국어로 번안한「부모애착척도」와 김희화와 김경연(1998)이 한국 아동 및 청소년용으로 개발한「자아존중감 척도」를 질문지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222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변인에 따른 부모와의 애착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부와 모의 애착에서 부애착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모애착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음주 및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이 음주 및 흡연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부와 모애착 모두 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 전체의 차이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 중 친구관련 자아와 가정적 자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성격적 자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다. 한편, 음주 및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이 음주 및 흡연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전체 자아존중감이 더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청소년의 음주 ․흡연 경험 유무에 따라 부모에 대한 애착과 자아존중감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는 것은 현재 학교에서 실시되는 음주․ 흡연 예방 교육에 부모의 적극적인 개입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증진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