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칭찬 화행에 대한 연구는 칭찬응답어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칭찬어에 대한 연구는 칭찬어의 유형분류와 주제 분석 등과 같은 1차적인 분석과 문장 구조 안에서의 어...
지금까지 칭찬 화행에 대한 연구는 칭찬응답어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칭찬어에 대한 연구는 칭찬어의 유형분류와 주제 분석 등과 같은 1차적인 분석과 문장 구조 안에서의 어휘특징, 화·청자변인, 칭찬 선호 주제 등 칭찬 화행에 대한 화용적 분석이 시험적으로 진행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칭찬의 상대가 누구인가 하는 것과 그 상대에게 어떻게 칭찬할 것인가 하는 것이 칭찬 화행의 가장 큰 화용적 제약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연구가 더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칭찬 화행에서 사용하는 칭찬어는 의사소통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의 한 단위로 담화차원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구의 목적을 한국어 칭찬 화행에서 칭찬어의 문장 구조와 표현문형, 의미자질들을 파악하여 그 결과를 한국어 교수·학습 현장에 제시하는 데 두고 칭찬 화행연구에서 지금까지 접근하지 않았던 칭찬어의 구조분석과 의미 분석에 대한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고 도출된 자료들을 근거로 화용적 분석을 실험적으로 실시하였다. 또 본 논문은 대조분석의 기초 아래 진행되었기 때문에 한국 칭찬어와 중국 칭찬어를 대등한 위치에 놓고 한국어에 중국어 칭찬어를 대조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한·중 칭찬어 대조의 결과로 문장 성분 분석에서는 주어 성분의 사용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유형 분석에서는 한·중 칭찬어 표현문형이 의사소통 상황에서 여러 가지 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표현문형 추출을 위한 분석을 통해 한·중 칭찬어가 문형화의 특징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의미자질에 대한 분석에서 한·중 칭찬어는 역시 각각 사회적 변인에 대한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어 학습자를 중심대상으로 그들이 한국어 칭찬 화행을 학습하는 데 있어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할 한국어 칭찬어의 전반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한·중 칭찬 화행 연구에서 새로운 시도인 문장 구조 분석과 표현문형추출, 유형분류 및 의미자질 분석 등을 통한 대조분석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미를 둘 수 있다.
Researches on praise speech act until now have being made active progress, focused on praise answer language. In researches on praise language, the 1^(st) analysis as pattern classification and subject analysis of praise language and pragmatic analysi...
Researches on praise speech act until now have being made active progress, focused on praise answer language. In researches on praise language, the 1^(st) analysis as pattern classification and subject analysis of praise language and pragmatic analysis on praise speech act as vocabulary characteristics in structure of sentence, speaker/listener variables and preferential subject of praise were made progress experimentally. It becomes the largest pragmatic limit of praise speech act whom you will praise and how you will praise him or her in Korean society. Therefore, more diverse researches on them should be realiz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praise language in praise speech act in the level of conversation as one unit of conversation in the situation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grasp sentence structure, expression pattern and meaning quality of praise languagein praise speech act of Korean language and to propose the results to the field of teaching/learning Korean language. The study analyzed structural analysis and meaning analysis of praise language not approached until now and carried out a pragmatic analysis experimentally on the basis of the induced data. The study also compared praise language of Chinese language with that of Korean language on even ground since the study was made progress under the basis of comparative analysis.
As the results of comparing praise language of Korean language with that of Chinese language, they had a great deal of differences inusage of the subject at the time of analyzing components of sentences. At the time of analyzing their patterns, their patterns of expression wer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situation of communication. It was checked that their praise language had a characteristic of making a sentence pattern through analysis for extraction of expressive sentence pattern. In analysis on meaning quality, their praise language got the most effects from each social variable.
The study was meaningful since the study attemptedan overall analysis of praise language in Korean language that Chinese learners learning Korean language should grasp in advance at the time of learning praise speech act of Korean language. The study was also significant since the study offered Chinese learners more effective learning data by a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analysis of sentence structure, extraction of expressive sentence pattern, patter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meaning quality which were a new attempt in researches on praise speech act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