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영어 수업을 받고 있는 유아 5명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태도와 성취정도를 관찰·분석하고 이들의 가정환경에서의 차이가 유아의 학습태도 및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영어 수업을 받고 있는 유아 5명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태도와 성취정도를 관찰·분석하고 이들의 가정환경에서의 차이가 유아의 학습태도 및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질문은 가정에서의 영어사용 환경에 따라 유아의 학습태도 및 성취도는 어떠한지, 가정에서의 영어 관심도에 따라 유아의 학습태도 및 성취도는 어떠한지, 가정에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긍정적 강화에 따라 유아의 학습태도 및 성취도는 어떠한지 이다. 5명의 유아들의 수업태도 및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관찰을 진행하였고, 가정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가정방문을 하여 참여관찰을 진해하였다.
본 연구로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업태도가 우수하고 학업 성취도가 높은 유아들은 가정에서 적절한 영어 사용 환경에 노출되어 있었다. 각 대상 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수업시간에 사용한 교재와 CD를 가정에서도 반복적으로 듣고 있었으며, 그 외 파닉스 등의 기타 보조교재로 추가적인 영어 학습을 진행하고 있었고, EBS의 영어만화 프로그램 시청이나 영어를 사용하거나 공부하는 가족 등의 영향력으로 영어 노출 기회가 많았다. 둘째, 자녀의 영어 학습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유아들의 수업태도와 학업 성취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조기 영어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관심은 자녀들에게 어떠한 방법으로 영어 학습 기회나 영어 노출을 제공할지 생각해보고 실천하는 계기를 주었으며 이는 곧 유아들에게도 긍정적 영향력을 주어 영어 노출 기회를 높여주는 계기가 되고 있었다. 셋째, 가정에서 가족 구성원들과의 활발한 상호작용과 긍정적 강화가 유아들의 수업태도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영어 학습의 기회를 배제하고 가족 구성원들과 한국어를 통한 질문과 대답을 주고받으면서 대화량이 많았고 다른 형제·자매들과 놀이를 통한 상호작용이 많은 유아들이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말하고 질문에 대답하는 것에도 뛰어났다. 이는 곧 유아의 언어능력, 즉 영어 학습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학부모들의 배경은 유아들의 영어 학습태도 및 성취도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부모들의 학력이 낮더라도 영어 학습에 관심을 가지고 도움을 주고 상호작용을 활발히 한 가정의 유아가 부모의 학력이 높더라도 충분한 상호작용과 학습의 기회를 주지 못한 가정의 유아보다 학습태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유아들에게 가정에서 영어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면, 가지고 있는 영어교재나, 유아가 흥미 있어 하는 교재를 활용하거나, TV방송의 영어 관련 프로그램의 주기적 시청을 통해 유아들의 영어 관심을 높일 수 있다. 둘째, 가정에서 유아들과 가족구성원들과의 충분한 상호작용을 해야 할 것이다. 평소 부모들은 질문을 유도하거나 질문을 하여 답을 유도하여 유아들이 자신들의 의사전달이나 생각을 표현하게 하여 언어 능력을 키우게 하는 것이 영어능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유아들의 행동에 대한 충분한 보상의 기회를 주어야 할 것이다. 올바른 행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은 유아들이 자신들의 행동에 대한 판단 기준을 가기게 되어 수업태도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 영어를 학습하는 유아를 둔 학부모들은 자신들의 영어능력이나 경제적 상황에 한계를 두어 영어학습을 포기하거나 관심을 뒤로 하기보다는 적은 비용을 투자하더라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환경에 맞춰 유아들에게 영어노출의 기회를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영어 투자비용이나 학부모들의 영어능력이나 경제적 능력에 상관없이 유아들에게 관심들 가지고 가정환경과 아이에게 맞는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가정의 유아가 좋은 학습태도와 높은 학업 성취를 나타내었다.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 시 필요한 사항으로 첫째, 가정환경이 다양한 관찰 대상자를 통해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충분한 연구 기간 확보와 장기간의 수업관찰로 연구 대상자들의 수업적 특성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가정환경의 심층적 연구를 위해 방문관찰 뿐 아니라 사전에 동의를 구한 카메라 설치를 통한 24시간 관찰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가정환경 분석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