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관용어 주석이 우연적 관용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국어 3급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을 위하여 2가지 관용어 주석이 제공되...
본 연구는 관용어 주석이 우연적 관용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국어 3급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을 위하여 2가지 관용어 주석이 제공되었으며 하나는 의미/예문 주석, 또 다른 하나는 의미 주석이다. 실험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총 3개의 집단으로 나뉘어 의미/예문 주석이 제공된 텍스트, 의미 주석이 제공된 텍스트, 그리고 주석이 제공되지 않은 무주석 텍스트를 각각 제공받았다. 학습자들은 각 텍스트를 통해 읽기 과업을 수행하였으며 그러한 과정 중에 우연적으로 학습한 관용어를 1차 사후 어휘 평가와 1차 실험 1주일 후에 실시한 2차 사후 어휘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관용어 주석의 유형이 우연적 관용어 학습의 단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관용어 주석의 유형이 우연적 관용어 학습의 장기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3. 관용어 주석의 유형이 우연적 관용어 학습의 기억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학습자의 관용어 학습 단기기억은 1차 사후 어휘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고, 장기기억은 1주일 후 실시한 2차 사후 어휘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학습의 기억 효과는 1차 평가와 2차 평가의 차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비모수 통계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크루스칼-왈리스 검정, Mann-Whitney U검정,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용어 주석은 우연적 관용어 학습의 단기기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의미/예문 주석, 의미 주석 텍스트 집단의 학습자들은 무주석 집단의 학습자들과 비교하여 1차 사후 평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 중 의미/예문 주석 집단의 학습자들은 다른 두 집단의 학습자들보다 더 높은 성취수준을 보였다. 또한 의미/예문 주석 집단의 학습자들은 관용어를 활용한 예문 생성에 있어서도 다른 두 집단의 학습자들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이를 통해 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 주석의 형태가 학습자들의 관용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관용어 주석은 우연적 관용어 학습의 장기기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의미 주석 집단의 학습자들과 무주석 집단의 학습자들은 2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이지 못했지만, 의미/예문 주석 집단의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다른 두 집단의 학습자들보다 뛰어난 장기기억력을 보였다. 또 1차 평가 때와 마찬가지로 관용어 활용 예문 생성에 있어서 다른 두 집단보다 월등히 뛰어난 점수를 기록하였다.
셋째, 관용어 주석은 유형에 따라 우연적 관용어 학습의 기억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의미 주석 집단의 학습자들은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와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 사이의 차이가 커서 관용어 주석의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였지만, 의미/예문 주석 집단과 무주석 집단의 경우에는 점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지 않았다. 무주석 집단의 경우에는 1차 평가의 점수 자체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그것이 2차 평가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의미/예문 주석 집단의 경우에는 관용어 주석의 형태가 관용어 학습 기억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읽기를 통한 관용어 교육의 효과에 대하여 고찰해 볼 수 있었고, 주석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특히 의미 이외의 활용 예문 정보를 담은 주석의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도 읽기를 통한 관용어 학습의 다양한 측면이 연구되길 바라며 이를 통하여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들에게 양질의 교육 자료가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losses on incidental idioms learning, based on the 3rd level Chinese Korean-learners.
For this experiment, two types of glosses, such as meaning-example gloss and meaning gloss, were used. The parti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