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학 텍스트 읽기를 돕기 위하여 텍스트 내 어휘 설명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어휘 주석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연어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학 텍스트 읽기를 돕기 위하여 텍스트 내 어휘 설명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어휘 주석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연어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에 실제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재에 실린 문학 텍스트를 선정하여 텍스트 내 고급 수준 어휘를 추출하고 어휘 주석을 제공하였다. 실험 집단은 어휘의 사전적 의미만을 제공한 일반 주석 집단과 사전적 의미와 함께 활용 예문을 제공한 예문 주석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주석의 유형을 다르게 하여 텍스트를 제공하였을 때 학습자의 연어 습득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보고자 하였다. 또한 주석의 유형이 학습자의 연어 학습 기억 효과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관련된 선행 연구를 기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일반 주석과 예문 주석이 학습자의 연어 습득 및 읽기 이해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검증하기 위해 1차 본 실험에서 진행한 읽기 이해 평가와 1차 어휘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시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 2는 문학 텍스트 읽기를 위해 제공된 일반 주석과 예문 주석이 학습자의 연어 학습 기억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1차 어휘 평가 후 일주일의 시간 간격을 두고 진행한 2차 사후 지연 어휘 평가를 통해 집단 간 연어 학습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학 텍스트 읽기와 어휘 학습의 관계, 한국어 교육에서 어휘 주석과 연어에 관한 논의들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학 텍스트 내 어휘 주석의 유형을 다르게 하여 제작한 본 연구의 실험 도구와 실험 방법 및 분석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 문제 1을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습적 연어를 체언의 의미 부류에 따라 각각 ‘제약적 연어’와 ‘준-제약적 연어’로 나눈 기준을 바탕으로 목표 연어 8개를 제약적 연어와 준제약적 연어로 분류하여 집단 간 목표 연어 습득 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준제약적 연어에서 일반 주석 집단의 평균 점수가 예문 주석 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여 연어를 학습할 때 준-제약적 특성을 가지는 연어들은 일반 주석을 통해 의미를 제공하는 것이 예문 주석을 제공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임이 증명되었다. 연구 문제 2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차 사후 지연 어휘 평가 결과 2차 어휘 시험의 집단 간 평균 점수와 1·2차 목표 연어 어휘 평가의 평균 점수 모두 결과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집단 내에서 1·2차 목표 연어의 평균 점수를 문항별로 대응한 결과 일반 주석 집단에서는 ‘상을 보다’와 ‘샘을 내다’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예문 주석 집단에서는 ‘살림을 나다’, ‘재주를 부리다’, ‘트집을 부리다’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목표 연어의 1·2차 어휘 시험 평균 점수 비교를 통해 제약적 연어에는 일반 주석을, 준-제약적 연어에는 예문 주석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연어의 유형별 분류에 따라 각기 다른 연어 학습 방안을 고안할 필요성이 있음을 검증한 것으로 지속적인 연어 학습에 있어서는 예문 주석이, 즉각적인 연어 학습에서는 일반 주석이 더 효과적임을 증명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학 텍스트라는 특정 읽기 제재를 중심으로 그 안에서 한국어 연어에 주목하였다는 점과 이를 활용한 연어 습득 방안을 연구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제약적 연어와 준-제약적 연어로 연어의 유형을 분류하여 습득 양상을 살펴본 후 이에 따른 어휘 주석의 제시와 함께 효과적인 연어 학습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