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작문 텍스트의 주제부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연구는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외국인 학습자의 실제 작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구조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

연구는 국내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외국인 학습자의 실제 작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구조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대상 텍스트는 중국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으로 언어권을 한정하고 그 형식상 전형성이 강하여 의미 단락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는 설명적 텍스트와 논증적 텍스트로 글의 종류를 한정하였다. 텍스트의 분석은 기능적 문장관(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 FSP) 이론을 바탕으로 발화문을 주제부와 설명부 구조로 보고 대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한국어의 주제부 표지 ‘는’의 문제와 주제부 생략 문제를 분석하고 글의 종류에 따른 주제부 전개를 발화문의 분포 양상을 통해 살펴보았다.텍스트의 주제부와 설명부는 정보의 명제 간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발화문의 형태로 적절히 배열되고, 이는 텍스트를 결속구조와 결속성을 갖춘 하나의 정보 집합체로서 기능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발화문의 말머리에 주어지는 주제부들 중, 둘 이상의 발화문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핵심 주제부로 두고, 그 밖의 주제부들이 이러한 핵심 주제부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배열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핵심 주제부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새로운 개념으로서 텍스트의 기능에 따른 전형적인 구조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정보의 대표성을 의미한다. 학습자 작문과 같이 그 형식상의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텍스트의 경우, 그 전형적인 내용 요소에 근거를 둘 수 있는 새로운 분석의 틀이 필요하다. 학습자 작문 텍스트는 그들의 언어적 오류로 인해 기저의 정보 구조를 드러내지 못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그들의 주제부를 바로 잡고 이 주제부들을 텍스트를 구성하는 서로 긴밀한 정보 요소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주제부의 안내를 받으며 텍스트를 구성하는 발화문의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문 텍스트의 주제부는 표지 오류로 인한 부재 현상과, 생략 오류로 인한 부재 현상으로 작문 텍스트의 결속성을 저해한다. 둘째, 주제부 교정이 이루어진 작문 텍스트는 기저의 정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핵심 주제부와 그 밖의 주제부의 배열 양상은 텍스트의 종류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학습자 작문은 실제 교육 기관에서 수집된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텍스트로 그들의 주제부 사용 실태를 여과 없이 보여준다. 글의 종류에 따른 발화문의 분포는 텍스트 내에서 핵심 주제부가 등장하는 시점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쓰기 교수 학습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basic data of a text structure for writing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y analyzing actual learners' writings of foreigners that learned Korean in Korea. The text objects include the writ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basic data of a text structure for writing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y analyzing actual learners' writings of foreigners that learned Korean in Korea. The text objects include the writings by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kinds of writings were restricted to explanatory and argumentative texts that had relatively clear paragraphs of meaning due to the strong form typicality. In analyzing the texts,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utterances in the Thema and Rhema structure based on the 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e(FSP) theory, analyzed the issues of the Thema maker ‘는’ and omission of Thema observed in the text objects, and examined the Thema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kinds of writings through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utterances.The Thema and Rhema of a text are properly arranged in the form of utterance based on the relations among the propositions of information, which allows the text to function as an information group with coherence and cohesion. In the study, I reviewed the Themas in the beginning of utterances, searched for the ones repeated in two utterances or more, and called them kernel Themas. Then I analyzed how the other Themas were arranged in their relations with those kernel Themas. The Kernel Thema is a new concept devised in the study and indicates the representativeness of information commonly found in the typ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a text. In case of texts where form errors appear frequently like learners' writings, there should be a new analysis framework to obtain grounds from the typical content elements. The texts of learners' writings cannot reveal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base due to their linguistic errors. In an attempt to confirm that, I rectified their Themas and regarded them as information elements of texts close to one another. Then I examined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utterances that made up a text being guided by Thema. Those analysis efforts shed light to the followings: first, the Thema in learners' writings hinders the cohesion of the writings due to the absence phenomenon caused by a marker error and omission error. And secondly, once proofread, learners' writings get to have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base, and the arrangement patterns of the kernel Themas and the other Themas affect the kinds of texts.The learners' writings used in the study were the writing texts collected from foreign learners learning Korean at a language institute and show their uses of Thema as they were. The distribution of utterances according to the kinds of writings suggest the point of time when the kernel Thema appears in the text and can serve as basic data to help learners with their writing study.

참고문헌 (Reference)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