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n international family child interacts with her peers in a day care center and to find out impli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o this, the study was set 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n international family child interacts with her peers in a day care center and to find out impli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o this, the study was set out the research question, ‘how does a child from an international family live in a day-care center?’
A three-year-old girl from an international family had been observed during naturalistic settings in a day-care center for 8 months, from March to October, 2007. Main tools for collecting data in this study were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 field notes, and teacher's documents. Tape recorder was also used for specific description of the target child's dialogues during free play. This study found out was as follows.
First, being together is so important for the child from an international family to get over the cultural difference. For example, the target was changed to speak out what her wanted to know during free play sessions through playing together with peers. Although she was out in peers' paying attention, play together made her and her peers to get close.
Second, social exchange is so important for the child from an international family to deal with the cultural difference. For example, oral communication made her to be in a peer group.
Third, peers' initiative actions and care is so important for the child from an international family to be immersed in a peer group. Peers' multiple effort toward the child from an international family to get into main society is also importan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th, teacher's teaching is another factor for the child from an international family to get over the difference between two culture.
This study tells that experience in a day care center leads the child from an international family to be in a mixed society. This study also tells that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get to be developed for all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생활해 나가고 변화하며 적응하는지 살펴보고 이것을 통해 국제결혼 가정 자녀를 이해하며 다문화교육에 대한 기본 방향이...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생활해 나가고 변화하며 적응하는지 살펴보고 이것을 통해 국제결혼 가정 자녀를 이해하며 다문화교육에 대한 기본 방향이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가 보이는 생활모습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선택 활동을 중심으로 한 전반적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을 자연적인 상황에서 관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I시의 S어린이집에 다니는 만3세 여자 유아이다. 어머니는 필리핀인이고 아버지는 한국인이다. 2007년 3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참여관찰 하였고, 현장기록 노트, 교사 관찰문서, 녹음기 그리고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문제에 따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부족한 한국어 능력으로 인해 기본적이고 충분한 언어적 자극을 받지 못해 또래들에 비해 언어적 표현능력과 반응능력이 부족하여 또래와 교사에게 언어적 표현과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수민은 교사와 친구를 따라 하면서 의사표현을 하나씩 배워가고 또래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으로 궁금한 것은 물어보고 의사표현을 하게 되었다. 또래와의 다양한 상호작용과 교사의 직접적인 지도는 언어적 표현에 있어서 자신감을 가지게 하였고 다양한 언어적 환경을 제시하여 언어사용의 기회를 늘려줌으로 인해 수민의 언어적 능력은 처음에 어린이집에 왔을 때와 달리 언어를 잘 구사할 수 있을 정도로 변하였다.
둘째, 한국어가 부족하고 영어를 선호하는 어머니로부터 기본적이고 충분한 언어적 자극을 받지 못하였고 이중 언어의 혼란도 겪으며 또래와의 상호작용 기회조차도 없는 이유로 또래들과 어울리는 것이 아니라 그들 주변에서 배회하며 혼자 놀이하던 수민은 놀이를 스스로 선택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집의 같은 반 모든 유아들과 협동, 제안, 질문, 부탁의 친사회적 행동과 긍정적 관계 유지, 적극성 보이기, 상황과 관련하여 놀이 제지하기 등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변화를 보였다.
셋째, 낯선 환경과 자기가 접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두려움과 걱정,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결핍,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다른 유아들의 자극이나 행동에 무반응을 보이거나 회피하는 모습을 보이던 수민은 다른 친구와도 어울려 놀며 칭얼대기, 대응하기, 즐거움 표현하기 혹은 단호한 감정의 반응, 놀이 상황이나 놀이맥락에 따라 적당한 정서적인 표현 등 긍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하였다.
넷째, 어린이집에서의 교사와 또래와의 다양한 경험으로 인해 활동에 흥미를 보이지 않고 머뭇거리거나 낯설어하기만 하던 수민은 처음 보는 것에 대한 거부감은 거의 없어졌고 몰라도 교사의 도움이나 친구들이 하는 것을 보고 하려고 하였다. 그러다가 정보나 지식의 공유 및 상황에의 적응으로 자신감이 생겨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은 혼자 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언어와 문화에 제대로 알지 못하는 외국 출신 어머니에 의해 양육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과 같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또래들과의 상호작용과 더불어 교사와 다양한 경험을 함으로써 보다 풍부한 발달을 할 수 있으므로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유아교육기관을 통해 교육기회를 제대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유아기는 다문화 교육을 위한 적절한 시기로 또래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다문화 교육을 장려하고 이에 맞는 다문화교육 내용을 구성 하여야 할 것이다.
,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