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는 가치 체계의 혼란과 무규범성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은 이와 같은 현상을 극복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자는 칸트의 교육론이 초등교육...
현대사회에서는 가치 체계의 혼란과 무규범성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은 이와 같은 현상을 극복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자는 칸트의 교육론이 초등교육에 주는 의의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칸트가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서 강의한 『교육학 강의』의 내용을 한국어로 번역한 원전을 바탕으로 그의 교육론 일반을 분석한다.
본 논문의 Ⅰ장인 서론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목적, 연구 방법을 밝힌다. Ⅱ장에서는 칸트의 교육론을 살펴본다. 칸트의 교육론은 인간의 성장 단계와 교육의 과정의 순서와 연속성을 고려하여 교육을 소극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양육과 훈육, 그리고 적극적 방식으로 수행해야 하는 실천적인 교육으로서의 문화화하는 교육, 문명화하는 교육, 도덕화하는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육과 훈육은 인간의 몸과 비이성적 본능과 욕구를 돌보고 다스리는 교육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양육과 훈육이 성취된 후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실천적인 교육으로서의 문화화하는 교육, 문명화하는 교육, 도덕화하는 교육은 인간의 마음과 지성 또는 이성에 호소하는 교육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덕화하는 교육은 어린이가 자율적으로 도덕적 사고를 수행하는 것을 배움으로써 밖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주어지는 규제와 강제에 따르지 않고 스스로 부과한 일정한 행위규칙들과 도덕법칙들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삶과 행위를 수행할 수 있게 만드는 교육이다. 본 논문의 Ⅲ장에서는 칸트의 교육론이 초등교육에 주는 함의를 고찰한다. 칸트의 교육론을 바탕으로 어린이의 인격 완성을 위한 초등교육의 방법, 초등교사의 역할, 초등학생이 실현해야 할 인격적 특징들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Ⅳ장에서는 결론을 내리고 마무리 한다.
칸트는 인간이 교육을 통해 세대를 이어가면서 인격의 완성으로 한 걸음씩 점점 더 접근해 가는 교육의 발전성을 강조하였다. 칸트에 따르면 인간의 모든 소질을 계발시키는 교육이 진실한 교육이다. 인격의 완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칸트의 교육론은 기능적 합리성의 존중과 가치 의식에 무관심한 현대 교육의 부정적인 경향을 극복하는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칸트의 교육론은 초등교육을 위한 하나의 적절한 패러다임이 될 수 있다.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chaotic value system and a severe loss of norms, and education sector is requested to tide over such difficu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research into the significance of Kant's educational the...
Moder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chaotic value system and a severe loss of norms, and education sector is requested to tide over such difficu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research into the significance of Kant's educational theory for elementary education.
The Korean text of Kant's lecture on pedagogy at the University of Konigsberg was analyzed to look into his educational theory.
Chapter I, an introduction, described the significanc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II researched into Kant's educational theory. Kant set up two different educational theories. One is raising and discipline, which are implemented in a passive manner in consideration of human growth stage and the order and continuity of education. The other is practical education of culturalization, civilization and moralization that should be provided in an active way. Raising and discipline could be understood as the kind of education that teaches learners to take care of their bodies and control their irrational instincts and needs. After raising and discipline are finished, practical education should follow immediately, which refers to education of culturalization, civilization and moralization. This education could be received as what appeals to human mind, intelligence or reason. Moralization education denotes what children learn to think on their own, namely autonomous moral thinking, to lead an autonomous life by abiding by their own rules, regulations and moral principles. Chapter III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Kant's educational theory for elementary education in terms of purpose, method, teacher roles an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for school children. Chapter Ⅵ reached a conclusion.
Kant put stress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by which people take a step forward to perfect character. According to him, true education should be to develop every talent of people. Kant's educational theory that seeks after the perfection of character is expected to be a new paradigm to correct the negatives of modern education that is indifferent to rationality and value consciousness, and that is expected to be a good paradigm for elementary education at the same time.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