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문화교육 관점에 기초한 고전 텍스트 활용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다문화가정 및 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문화교육 관점에 기초한 고전 텍스트 활용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다문화가정 및 다문화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유형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교육의 관점에 기초한 고전 텍스트 활용 교육의 목표로는 ‘국어사용능력 향상’, ‘문화이해능력 향상’,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향상’, ‘긍정적인 정체성 함양’을 설정하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에서 7학년에서 9학년까지의 문학 교육과정 내용 요소를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검토하고 보완하여 학년별로 재구성하였다.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방법으로는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과 수준별로 개발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 그리고 이 두 가지를 적절하게 혼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고려하여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고전 텍스트 활용 교육 모형으로 ‘교육과정 기반 모형’, ‘텍스트 기반 모형’, ‘교육과정과 텍스트의 복합교육 모형’을 제안하였다.
우선 ‘교육과정 기반 모형’으로는 교육과정에 따라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를 함께 교육하는 ‘통합교육 모형’과 교육과정을 따르되 다문화가정 자녀와 일반가정 자녀를 분리하여 교육하는 ‘분리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텍스트 기반 모형’으로는 ‘학년별 교육 모형’과 ‘수준별 교육 모형’이 가능한데 이 두 모형은 학습자를 학년별로 나누어 교육하느냐, 수준별로 나누어 교육하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 모형의 단계는 동일하다. ‘교육과정과 텍스트의 복합교육 모형’으로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문법교육 및 한국문화교육만을 분리하여 교육하는 ‘학년별 통합교육 모형’과 ‘단원의 길잡이’ 및 ‘읽기 전 활동’과 ‘문화 비교’ 단계를 제외하고는 일반가정 자녀와 다문화가정 자녀를 분리하여 교육하는 ‘수준별 통합교육 모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여섯 가지 모형 중에서 ’학년별 통합교육 모형’을 기반으로 <설화 속의 호랑이> 교육의 실제를, ‘수준별 통합교육 모형’을 기반으로 <아기 장수 우투리>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여 보았다.
<설화 속의 호랑이>는 교육과정상 2차시에 걸쳐서 수업을 하도록 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 다문화교육을 위한 1차시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기초적인 학습을 위한 2차시를 추가하여 계획하였다. 1차시에는 다양한 호랑이 설화를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차시에는 <설화 속의 호랑이>를 읽고 설명문 구조에 대하여 이해하도록 하고 호랑이 설화에 반영되어 있는 한국인의 의식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3차시에는 다양한 나라의 호랑이 설화를 비교하는 토론활동을 제시하였다.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재량활동 시간은 1차시와 2차시 사이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1차시 복습’ 부분과 ‘2차시 예습’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아기 장수 우투리>의 경우 총 3차시 정도를 배정하도록 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 다문화교육을 위한 1차시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기초적인 학습을 위한 재량활동 2차시를 추가하여 계획하였다. 재량활동 1차시와 2차시에는 각각 <아기 장수 우투리> 학습을 위한 기초학습으로 <홍길동전>과 <동명왕 신화>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1차시에는 일반적인 영웅 이야기 구조를 확인하고 다양한 나라의 영웅 설화를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2차시와 3차시는 다문화가정 자녀만을 분리하여 교육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우선 2차시에는 <아기 장수 우투리>에 나타나는 어휘, 문법, 한국문화 등에 대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3차시에는 <아기 장수 우투리> 내용 및 구조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4차시에는 다양한 나라의 영웅 설화를 비교하는 토론활동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고전 텍스트를 활용하면 국어의 다양한 표현 원리, 내용생성 원리, 구성 원리 등을 익힐 수 있게 되어 다문화가정 자녀의 풍부하고 창의적인 국어사용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전 텍스트에 대한 경험을 통하여 다양한 국어사용 맥락을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게 되어 다문화가정 자녀로 하여금 맥락에 맞는 국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정 자녀는 물질문화 체험 위주의 한국문화교육에서 벗어나서 한국문화의 정신적 측면을 경험하고 내면화할 수 있으며, 일반가정 자녀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일반가정 자녀와 다문화가정 자녀 모두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문화 간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게 되며, 다른 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긍정적인 정체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