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의 공격성 감소와 미술치료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지적장애 2급의 39세 기혼 여성으로 남편이나 자신보다 약한 원우들에게 높은 공...
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의 공격성 감소와 미술치료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지적장애 2급의 39세 기혼 여성으로 남편이나 자신보다 약한 원우들에게 높은 공격성을 보여 왔다. 미술치료는 2008년 1월 14일부터 2월 29일까지 주 3회, 총 16회기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신체적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대상자의 신체적 공격성은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일관성 없는 변화를 보였으며, 프로그램이 종결시점에 다다랐을 때 오히려 신체적 공격성이 증가하는 역기능을 보였다.
둘째,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언어적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회기를 더해갈수록 대상자는 내재된 부정적인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였으며, 표출한 감정에 대해 평가가 아닌 격려를 받음으로써 자신감을 회복하여 자신의 의사표현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공격적인 언어들은 점차 감소하였고,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성인의 간접적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경험한 작품을 만드는 과정은 대상자에게 성취감과 자신감을 주어 외부를 향했던 부정적 에너지를 대상자의 자존감을 높이는 긍정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사후 대상자가 보여준 계획성과 상승한 자존감을 통해 공격성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16회기의 단기간에 이루어졌다는 것과 단일 대상으로 연구되었다는 제한점 그리고 환경의 제약을 적절하게 통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일반화하기에 미흡한 점이 있다. 한국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aggressive adult with mental retardation to adapt to the institutionalized environment, especially in interpersonal and marital relationships. The subject was a 39-year-old woman diagnosed as the 2nd level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the aggressive adult with mental retardation to adapt to the institutionalized environment, especially in interpersonal and marital relationships. The subject was a 39-year-old woman diagnosed as the 2nd level of mental retardation and showed some aggression toward her husband and to the community members who were less powerful than her. Art therapy was applied for 16 sessions, 3 times per week, from January 14, 2008 to February 29, 2008. Three results were found.
First, art therapy did not effectively reduce the physical aggression to others. The subject showed much fluctuation in the expression of physical aggression.
Second, the verbal aggression of the subject was effectively reduced. The negative feelings of the woman were expressed freely in the sessions. Reduced verbal aggression was due to the supportive feelings for her repressed emotions. Furthermore,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was increased with the sessions.
Third, art therapy reduced the indirect aggressions. Feelings of self-esteem and achievement were gained through making the art products. There was a positive change from negative energy to positive energy.
There we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se results, because it was a case study and the subject environment was uncontrollable.
,韩语论文,韩语论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