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외상스트레스 장애는 외상성 사건을 경험한 후 나타날 수 있는 장애로서, 외상 사건에 대한 재경험, 외상과 관련된 자극에 대한 회피와 정서적인 마비, 증가된 각성 상태가 주요 증상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외상성 사건을 경험한 후 나타날 수 있는 장애로서, 외상 사건에 대한 재경험, 외상과 관련된 자극에 대한 회피와 정서적인 마비, 증가된 각성 상태가 주요 증상으로 나타난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자기 보고식 척도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도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Foa et al., 1997; PDS)는 DSM-Ⅳ진단 기준과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DS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그 심리측정적 속성을 살펴보고, 한국판 PDS의 절단점을 산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외상성 경험 가능성이 높은 집단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그 중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판(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SM-Ⅳ)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 기준 A를 충족하는 대상자 47명을 대상으로 SCID를 실시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집단과 진단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집단으로 나누었다. 수렴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IES-R-K, BDI-Ⅱ, BAI와의 상관 분석을 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2-3주 후 재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PDS는 높은 내적 일치도(chronbach alpah = .90)와 검사-재검사 신뢰도(r = .81)를 나타냈으며, SCID를 통한 진단과도 높은 일치도를 나타냈다. PDS의 전체 점수와 재경험 증상, 각성 증상에 대한 소척도는 IES-R-K의 전체 점수, 침습, 과각성 소척도와 .61~.70 까지의 범위의 상관을 나타내며, 이에 비하여 회피 증상에 대한 소척도는 다소 낮은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절단점을 제시하기 위해 ROC 곡선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한국판 PDS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집단과 정상 집단을 구별해 주는지 살펴보았다. 한국판 PDS의 절단점이 20일 때, AUROC는 .94, 민감도는 1.00, 특이도는 .84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수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의 높은 진단 유용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classified as an anxiety disorder. After trauma exposes the victim to actual or threatened death or serious injury, 3 clusters of PTSD symptom unfold. Those are intrusion, avoidance and numbing, and hyperarous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classified as an anxiety disorder. After trauma exposes the victim to actual or threatened death or serious injury, 3 clusters of PTSD symptom unfold. Those are intrusion, avoidance and numbing, and hyperarousal.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PTSD may be underdiagnosed when traumatic events are not the presenting problem. Thus, a PTSD screening scale might have utility.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DS; Foa et al., 1997) was designed to derive both information about a possible PTSD diagnosis defined by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Disorders (4th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SM-Ⅳ) and severity of PTSD symptoms. In the present study, the screening performanc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DS-K) was evaluated with 47 trauma survivors who had experienced a wide variety of traumatic events.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PTSD module of the Structured Dlinical Interview (SCID; Spitzer et al., 1990), the PDS, scales measuring anxiety, depression symptoms, and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K; Eun et al., 2005). The PDS-K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alpha = .90) and test-retest reliability (r = .81). The PDS-K demonstrated significantly diagnostic agreement with the PTSD module of the SCID, and satisfactory convergent validity of of the PDS-K was supported by it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other measures of trauma related psychopathology. The highest diagnostic efficiency of PDS-K was at a total score of 20, wit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1.00 and .84.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version of PDS possesses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and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assessing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PTSD symptom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