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문 목적의 한국어를(Korean for Academic Purpose) 학습하는 유학생에게 필요한 쓰기 교재(Writing material)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기존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 학문 목적 학...
본 연구는 학문 목적의 한국어를(Korean for Academic Purpose) 학습하는 유학생에게 필요한 쓰기 교재(Writing material)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기존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교재의 내용은 대학에서의 학업 수행에서 필요한 쓰기 과제 중 보고서(Academic ) 쓰기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교재의 학습 이론은 장르(genre)와 과정(process)을 통합한 쓰기 교육 이론을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에게 필요한 보고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국어 쓰기 교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교재에 적용하고자 하는 쓰기 교육 이론으로 장르와 과정을 통합한 접근법을 알아보았다. 장르의 개념과 쓰기 교육에서의 장르의 특징을 알아보았고, 장르와 과정을 통합한 교수ㆍ학습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학문 목적과 같은 특수 목적(specific purpose)의 한국어 교육에서 외국인 유학생에게 낯선 한국어 담화 공동체(discourse community)가 인정하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글의 장르적 접근이 필요하다. 3장에서는 지금까지 출판된 학문 목적 쓰기 교재 1종과 학문 목적 통합 교재 2종, 쓰기 전문 교재 2종을 분석하여 학술 보고서 쓰기 교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교재 분석의 기준과 항목을 선정하고 교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학술 보고서 쓰기 교재가 필요한 것과 개발할 교재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선정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교재의 구성 원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어의 학문적 담화 맥락과 담화 맥락에서 주로 논의되는 내용, 글쓰기에 사용되는 전략 그리고 학문적 글쓰기에 필요한 언어 지식을 알 수 있다.
2. 학술 보고서의 다양한 장르의 글을 분석하여 장르별 특성을 알고, 이를 통한 지식을 활용하여 목적과 상황에 따른 학술 보고서를 쓸 수 있다.
위와 같은 목표로 개발하는 교재는 학문 수행이 가능한 최소한의 기준인 한국어 3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교재의 내용은 장르, 주제, 전략, 언어 지식의 범주로 나누고 교수요목을 선정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교재의 전체 구성을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위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한국어 학술 보고서 쓰기 단원 구성의 원리와 단원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재의 단원 모형은 실제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장르적 지식을 학습하고 스스로 하나의 텍스트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교양 학문 수준의 내용이므로 글의 장르에 따라 다른 과목과 다양한 주제로의 확장이 가능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보고서에 관한 기초 연구의 부족으로 많은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외국인 유학생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riting material for foreign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s we analyzed existing Korean materials, we found that there should be writing materials for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riting material for foreign students who are learn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s we analyzed existing Korean materials, we found that there should be writing materials for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he contents of the material were focused on academic writing in preparation for writing works in university. In addition, the writing education theory combing genre and process was applied as the learning theory of the material.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developed a Korean writing material that can improve foreign students’ abilities to write academic s.
Chapter 2, which is on the writing education theory to be applied to the material, examined the approach that combines genre and process. In this chapter, we reviewed the concept of gen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genres in writing education, and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eaching.learning that combines genre and process. In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purposes like academic purpose, we need to make an approach through the genre of writings in order for foreign students to write in a way acceptable to Korean discourse community. Chapter 3 analyzed 1 kind of writing material for academic purpose, 2 kinds of integrated material for academic purpose, and 2 kinds of material specialized in writing published until now, and suggested that we need a writing material for writing academic s. This chapter also selected criteria and items for analyzing the materials, and analyzed the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ground for the necessity of academic writing materials and for the selection of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developed material. Chapter 4 presented principles for the organization of the material. The goals of the material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rough the material, the learners can learn contents discussed in the academic context and in the context of discourse, strategies used in writing, and linguistic knowledge necessary for academic writing.
2. The learners analyze academic s of various genres, fi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and become able to write academic s according to purpose and situation using the acquired knowledge.
The material developed with these goals targeted foreign learners whose Korean skill is grade 3 or higher, which can do academic stud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material were categorized into genre, theme, strategy, and linguistic knowledge, and syllabus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aterial was presented.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Chapter 5 suggested the principles and model of unit structure for writing academic s in Korean.
The unit model of the material was designed in a way that the learners can study the knowledge of genres and produce texts through analyzing actual academic s. Because the level of the contents is that of general educational curricula, the material may be applicable to other subjects or themes depending on genre. The present study has a number of limitations due to insufficient basic research on academic s. Nevertheles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give substantial help to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