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writing skill to use postpositions for adolescent cochlear implant users, and to compare them with a normal hearing adolescent group. A diary and an are selected as writing tasks suitable to th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writing skill to use postpositions for adolescent cochlear implant users, and to compare them with a normal hearing adolescent group. A diary and an are selected as writing tasks suitable to the current study. A diary has one readily express one's subjective utterance. An with the easy writing topic of 'my family' helps to minimize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writing capabilities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a diary that might be full of spoken languages.
The sample is 26 adolescents selected from mainstream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13 have had a cochlear implant operation and the other 13 are normal in hearing. As for the former group of adolescent cochlear implant users, the selection conditions are that at least 18 months had passed since the operation; that the adolescents had experienced a pre- and post-operational speech-language therapy; and that a spoken language is a basic communication tool for them. The latter group is a normal hearing adolescent group. Both groups have no problem in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All parents in both groups have no disabilities including hearing. Subjects are given an instruction and a writing , and asked to write two diaries and one without any help from others or other media.
The data analysis procedure is as follows. Diary contents are copied on the diary analytic table; the rate of postposition usage is counted as the number of actual uses to perfect uses in percentages, and written on the check-list for postposition types (case, conjunctive, and complementary); error coun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miss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The independent two-sample T-test was implemented for statistical analyses. Note that the term 'postposition' is abbreviated to 'P' hereafter.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1) The normal hearing adolescent group (the NH group hereafter) shows higher accuracy rates in using total Ps than the cochlear implant user group (the CI group hereafter)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ppears. the NH group shows higher accuracy rates in using case and complementary Ps than the CI group.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ppears for case and complementary Ps. Closely looking at the accuracy rates of case P‘s subtypes, the NH group reveals higher rates than the CI group in all subtypes such as subjective, objective, complementary case, unconjugation adjective, and adverbial Ps; howev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exists only for subjective and objective Ps. (2) The NH group shows lower error rates in using total Ps than the CI group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ppears. As regards the error types of Ps, both groups tend to display high error rates in the omission type and the inter-medium-categorical substitution typ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ppear in all error types. For case Ps, the group difference is significantly displayed in the omission type. Examining the subtypes of case P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inter-medium-categorical substitution type for subjective P. And als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omission and the inter-medium-categorical substitution type for objective P. As for the unconjugation adjective P and the adverbial P,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error types. With respect to the complementary case and conjunctive Ps, significant statistical values do not achieved. Lastly, the complementary P doesn't reveal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for all error types. (3) For individual error types, omission errors appear much in objective, subjective, and adverbial Ps for both groups. In the case of addition errors, the rate is highest in the complementary P. As for substitution errors, the CI group, relative to the NH group, displays more substitution errors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P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the adolescent cochlear implant user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hearing adolescent group, generally has more errors in using Ps, although two groups are similar in some parts. Based on previous research findings on children, it is presumed that the capability gap in using Ps, developed in the childhood, is not resolved even later, implying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Future research needs to focus on other grammatical problems with various methodologies.
인간이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서 꼭 필요한 것은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이다. 그리고 이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언어이다. 그러나 청각에 장애가 있으면 전반적인 언어...
인간이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데 있어서 꼭 필요한 것은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이다. 그리고 이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인 것은 언어이다. 그러나 청각에 장애가 있으면 전반적인 언어 습득 및 사용에 어려움을 보이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에도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
이렇게 청각 장애로 인해 언어적인 부분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게 최근 활발히 시행되고 있는 인공와우 이식 수술은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성공적인 인공와우 이식 수술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들이나 수술 이후의 재활 등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주로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조사를 포함한 문법형태소 특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류은정, 2005). 명료한 문장의 산출을 위해서는 문법 형태소를 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Brown, 1984), 특히 한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매우 발달한 언어로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적절한 문법 형태소의 사용이 필수적이므로(김미숙, 2004) 인공와우 이식을 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사용 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문어는 구어에 비해 의미의 전달이 상황정보보다는 언어정보에 의존하는 언어이기에(이경희, 2002) 구어에 비해 더 정확한 표현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쓰기에서의 조사 사용을 살펴보고 이를 생활연령이 비슷한 또래 청소년 집단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쓰기 과제는 쓰기 능력의 개인차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대상자들의 주관적인 발화를 잘 볼 수 있는 일기문과 글짓기로 하였다. 일기는 글쓴이의 주관적인 발화를 가장 잘 나타내주는 글이며 누구나 한번쯤은 써 봤기에 다른 글쓰기에 비해 쉽게 쓸 수 있다. 그리고 글짓기는 ‘우리가족’ 이란 비교적 쉬운 주제의 글을 쓰도록 해 쓰기 능력의 개인차를 최소화 하면서 구어적이 되기 쉬운 일기문의 단점을 보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6명으로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받은 청소년 13명과 이들과 생활연령을 맞춘 건청 청소년 13명이다. 인공와우 이식 집단의 청소년은 수술한지 최소 1년 6개월이 경과하고, 수술 전 후로 언어 치료 경험이 있으며, 구화를 기본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한다. 두 집단의 대상자 모두 부모나 교사의 보고에 의해 감각적, 신체적, 인지 및 정서, 행동적인 문제가 없다. 또한 대상자들의 부모는 청각을 포함한 다른 장애 및 문제는 없다. 두 집단의 대상자들에게 안내문과 쓰기 용지를 배부해서 일기문 2편과 글짓기 1편, 총 3편의 글을 타인이나 어떤 매체의 도움도 없이 스스로 쓰도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은 대상자가 쓴 일기를 일기 분석표 양식에 똑같이 전사하고 조사 check-list에 각 조사의 종류별(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로 정사용과 오류 사용을 바를 정(正)자로 표시를 해서 총 사용되어야 할 조사와 실제로 사용된 조사를 구해 정확도를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또한 조사의 유형에 따른 오류를 오류 유형별(탈락, 첨가, 대치)로 계산하였다. 통계 방법으로는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사용의 정확률에서는 전체 정확률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각 조사별로 살펴봤을 때 격조사, 보조사에서 모두 건청 청소년 집단이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 집단에 비해 높은 정확률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격조사의 하위 유형별로 정확률을 살펴 본 결과 주격, 목적격, 보격, 관형격, 부사격의 모든 유형에서 건청 청소년 집단이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 집단에 비해 높은 정확률을 나타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는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의 정확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조사 사용의 오류율에서는 전체 오류율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사 유형에 따른 오류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탈락과 중분류간의 대치 오류를 많이 나타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는 모든 오류 유형의 비율이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격조사에서는 탈락 오류에서만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격조사의 하위 유형별로 살펴보면 주격조사에서는 중분류간 대치 오류에서, 목적격조사에서는 탈락과 중분류간 대치 오류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보격조사의 경우에는 조사를 사용한 대상자와 오류를 보인 대상자가 적어 유의한 통계치를 얻을 수 없었다. 관형격 조사, 부사격 조사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접속조사의 경우에는 오류를 나타낸 대상자가 없어서 유의한 통계치를 얻을 수 없었다. 보조사 오류의 경우에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개별 오류 유형에 있어서는 탈락 오류의 경우 두 집단 모두 목적격, 주격, 부사격(처소 ‘에’)조사에서 탈락 오류를 많이 나타냈다. 첨가 오류의 경우 두 집단 모두 보조사의 첨가 오류를 가장 많이 나타냈다. 대치 오류에서는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 집단의 경우 주격과 목적격을 서로 대치하는 오류를 특히 많이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이 쓰기에서의 조사 사용에 있어서 조사나 오류의 유형에 따라 건청 청소년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부분도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오류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아동기 때부터 조사 사용의 능력에서 차이가 나기 시작한 것의 격차가 해소되지 않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어서 체계적인 교육 및 재활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또한 자료수집 과정이나 인공와우 이식 청소년의 글에서 발견된 조사 이외의 다른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网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