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시 활용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최근 들어 한국교육계에서 나타나는 두두러진 특징중의 하나는 한국문화 교육에 대한 강조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다. 본 연구는 이점을 염두에 두고 문화교육도 한국어 교육과 같은 원...

최근 들어 한국어 교육계에서 나타나는 두두러진 특징중의 하나는 한국문화 교육에 대한 강조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다. 본 연구는 이점을 염두에 두고 문화교육도 한국어 교육과 같은 원리와 방법으로 과제중심, 과정중심,학습자 중심의 원리에 따라 설계되고 적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제2언어로서의 시를 활용한 문화교육의 목표설정과 문화항목 등을 설정함에 있어서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다음으로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 외국인 대상 학습자들에게 체험적 학습으로 적용시키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2장에서는 한국어교육과 문화교육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져 문화의 구성요소, 문화정체성, 문화와 언어관계, 교육 등으로 나눠서 외국어로서 문화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했다. 또한 현재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각 기관의 교재분석과 문화교육방법을 통해 알아 보았으며,학습자들의 요구사항 반영을 위해 설문조사를 했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의 문화교육 현황을 알았으며 외국인 학습자들은 실제문화체험과 한국인과의 직접적인 대면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실제 한국어교육에서 표준적인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해서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교과과정과 교재구성 및 교육내용을 정부차원으로 끌어올려 한국어교육의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논하였다.
문화교육의 실질적인 내용방안의 하나로서 시 활용을 통한 문화교육의 내용을 논의하고 시속에 나타난 자연환경과 내재된 역사인식, 가치판단의식 등을 제시하여 가르치는 교사로 하여금 직접적으로 체험한 시 문학 활동의 예를 제시하고 방안을 모색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 연구에 근거하여 수업교재를 활용한 교실내 한국어 문화수업 방법의 일환으로 시 교재를 활용한 한국문화 수업모형을 제시하고 실제로 과제중심, 과정중심, 학습자중심의 원리에 따른 시(詩)활용 수업의 예를 제시하여 ‘읽기전 단계’, ‘읽기 단계’, ‘읽기 후 단계’로 나눠서 적용시켜 보았다. 따라서 시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모델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학습에 관여하는 여타요소(문화항목,학습대상자 등)들과 이것을 수업에 어떻게 연계시키고 응용할 것인가에 관한 보다 많은 활용 예의 연구와 도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사의 사전 준비와 분석노력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함을 절감하였다.
본 연구는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다음으로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외국인들에게 더욱더 중요한 한국문화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 수업모형과 함께 시교육의 실제를 제시했으나 그 내용이 기존연구의 틀을 깨지 못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실제로 원하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교육을 해야하는지, 시를 활용한 모델설계 제시로 본고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Recently, there appear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e area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are the emphasis on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the students-oriented education. Focusing on this trend, this research assumes that the cu...

Recently, there appear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e area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are the emphasis on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the students-oriented education.
Focusing on this trend, this research assumes that the culture education should adopt the same principle and methods as th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which task-oriented, process-oriented, students-oriented principles are emphasized.
In establishing the goal of culture education and the cultural components using poem as the second language, this research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after reading, writing, speaking, listening. However, it wa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foreign students.
In Chapter 2, to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it suggested the reason why culture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by foreign language in terms of cultural components, cultural identity, the relations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and education. In addition, it not only explor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alysing the textbooks of each institutes and the methods of culture education, but also surveyed the demands of the students.
As a result, it found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at the foreign students need a real cultural experience and face-to-face meeting with Korean.
In Chapter 3, it first suggested a standard approach and the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discussed that it is quite necessary to set a standar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level of government policy, which deal with the curriculum of culture education, textbooks, and contents of education.
Secondly, it discussed the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using poem as one of many practical alternatives of culture education contents. In this approach, students learn the contents of poem such as the natural environments, consciousness of history, value judgement, and teachers can use the direct experience of cultural activity like writing poem.
In Chapter 4, as a methods of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in a classroom, it suggested a model for Korean culture class using poem text. And it offered an example of class education using poem following task-oriented, process-oriented, students-oriented principle. Practically, it applied this model to the actual education steps such as pre-reading step, reading step, and after-reading step.
Conclusively, this research reached to a conclusion that to adopt a more effective mode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poem, teachers should have a better preparation and analysis in which teachers exert more efforts to research on the additional elements(such as cultural elements and learners etc.) and how to use and apply this elements to the education.
Although this research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after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and suggested a mode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poem, and practical poem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it has a limits of the usual research.
However, this research found the real demands of foreign students, education methods, and an education model using poem in Korean culture education.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