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및 한국 문화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해 설화 문학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및 한국 문화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해 설화 문학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문화교육의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으며,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은 한국어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충족될 때 가능하다. 이를 위해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의 통합적 교육이 필요하며, 유용한 제재로서 설화 문학이 활용될 수 있다. 설화 문학은 사랑, 지혜, 용기, 신의, 권선징악과 같은 인류 보편적인 주제를 담고 있는 이야기로, 많은 사람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고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이해가 용이하고 흥미로운 내용으로 되어 있어 학습 동기 부여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세계 보편적인 주제와 함께 그 나라 사람들만의 고유한 정서와 가치관 및 세계관을 반영하기도 하므로 비교 문화적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학습 제재이다.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인에게 널리 알려진 설화를 통해 한국어 능력 향상과 더불어 작품 속에 녹아 있는 한국인의 생활 방식과 정서를 이해함으로써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능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화 문학 중에서 온달 설화를 선정하여 온달 설화의 선정 배경과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 온달 설화 속에 나타난 문화교육적 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과 수업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Ⅱ장에서는 설화의 개념과 특징, 갈래 등 설화 문학에 대한 이해를 위한 전반적인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어교육에서 왜 설화를 활용해야 하는지 그 의의와 필요성을 확인한 다음, 설화가 전통적으로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지 근대 교재와 현대 교재에 수록된 작품을 통해 설화의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설화 작품을 선정할 때 어떤 기준으로 작품을 선정해야 하는지 그 기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온달 설화를 선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선정된 온달 설화에서 문화교육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자료와 구비 자료에 나타난 온달 설화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온달 설화가 수록된 자료 중에서 가장 안정적인 내용 전개와 구조를 보이고 있는 『삼국사기』 본을 기준으로 온달 설화의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고, 분석된 내용과 구조 및 의미를 토대로 온달 설화에 나타난 문화적 요소 중 충효열의 관념문화와 한국의 역사문화 및 다른 나라 설화와의 비교를 통한 비교 문화적 측면을 중심으로 문화교육적 요소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제시한 온달 설화의 문화교육적 요소를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초급, 중급 및 고급 학습 단계별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교육 방안은 문화교육이라는 큰 틀에서 이루어지므로 각 학습단계별 문화교육의 목표와 교육 내용을 검토해 보고, 현재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온달 설화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본 후 이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의 제시를 위해 각 학습 단계별 온달 설화 텍스트와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 실제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하고, 연구의 성과와 시사점 및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논하면서 마무리하였다.
This study suggest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Ondal folktale aiming to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of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ultimat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improve communic...
This study suggest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using Ondal folktale aiming to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of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ultimat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students, and true meaning of communication competence is not only to acquire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but also Korean culture. To achieve this goal, the integrated educ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is needed, and in this context, folktales can be useful as teaching materials. Folktales are stories of universal themes such as love, wisdom, courage, faithfulness and morality which are already known and readily available to many people, and the stories are interesting and easy to understand which is very effective in terms of motivating students. Besides universal themes, folktales reflect the unique emotions, values and worldviews of the people in the country, so it's very useful material in cross-cultural education. Students can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by leaning the texts of Korean folktales widely known to Korean people,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by knowing the lifestyle and emotions of Korean people embodied in the stories.
In this study, among folktales, Ondal story is selected and the backgrounds of the selection and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are verified. and the culture education components appeared in Ondal story are extracted. Based on those components extracted, specific education measures and lesson plan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actual Korean education are proposed.
In Chapter Ⅱ, the overall look of the folktale such as its concept, features and categories were reviewed for the understanding of folktale, and verified its significance and necessity on why it should be used in Korean education, and then the use of folktales was examined through the works of traditional and current Korean textbooks on how it's been used as Korean education material. In addition, the criteria on the selection of folktales was sought and Ondal story was selected accordingly which will be analyzed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presented in Ondal folktale were extracted in Chapter Ⅲ. To this end, the contents of Ondal shown in the bibliographic and oral data were examin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Ondal folktale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 of 『Samguksagi』 which contains the most reliable story development and plot among the data. With the analyzed contents, structures and meanings, the cultural elements appeared in Ondal story, moral culture consisted of loyalty, filial piety and woman's virtue, historical culture of Korea, and the cross-cultural features by comparing with the folktales of other countries were presented.
With the culture education elements of Ondal presented in Chapter Ⅲ, Chapter Ⅳ suggested the specific education methods for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which can be applied in actual teaching and detailed lesson plans were offered. As education methods are designed within the scope of culture education, the goals and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of each learning steps were reviewed, and examination on how Ondal folktale is being used in current Korean textbooks followed to discuss its issues and improvements. Based on this discussion, Ondal folktale texts and education contents were selected and the actual lesson plans were offered for each learning steps.
Chapter Ⅴ provided the brief summary and achievement of this study and discussed the outlook of related study in the future.
,韩语论文网站,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