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에서 외부정보의 입력 및 처리과정을 통한 구별과 인식은 행위주체의 지각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낳는다. 때문에 단지 ‘보는 행위’는 지각과 이 해의 전제일 뿐이며 동일한 이해와 ... 안구에서 외부정보의 입력 및 처리과정을 통한 구별과 인식은 행위주체의 지각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낳는다. 때문에 단지 ‘보는 행위’는 지각과 이 해의 전제일 뿐이며 동일한 이해와 지각결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 서 엄밀하게 말하면 ‘본다’는 것은 그것을 가리키는 한자어 ‘시視’에 해당한 다고 할 수 있다. 사물의 인식하고 구별하기 위한 시각에서 대상과 인식주체 사이에 발생하는 ‘시視’와 ‘각覺’의 개별적 간극은 본 작품연구의 대상이 되 는 ‘색채시각’의 주요 명제이다. ‘색’은 ‘빛의 현상’ 또는 ‘하나의 대상을 독립 적 사물로서 다른 것과 구별하여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시지각 현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의 속성 중 독립적 인식대상으로서의 색, 즉 사 물에 대한 동일성과 관련한 시각현상으로서의 ‘색’은 형태와 더불어 시각정보 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조형 행위의 근간이다. 프랑스 미술사가 피에르 프랑카스텔 PierreFrancastel에 의하면, 색을 현대건축의 기초인 시멘트에 견주 어 ‘현대회화의 출발점’이라고 하였다. 객관에서 주관으로, 구체적 형상에서 추상성으로 나아갈 때 색의 위상은 이처럼 작가의 눈에 비친 지각현상과 상 징언어로서의 위치를 확보하기까지 지속되었다. 지각대상으로서 색의 존재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물의 표면에 덧입혀지거나 ‘물질 그 자체’ 이다. 색각 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삼색시, 이색시, 단색시로 나뉘며 예외적으로 드물게 사색시를 하기도 한다. 작품을 위한 팔레트 구성 및 제작을 위한 본 연 구에서는 삼색시에서의 색약과 이색시 등의 검사판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작품제작을 위한 팔레트 색채구성의 방법론으로는 색각이상 판별검사 도구인 ‘한식색각검사표’의 색채를 기기측정한 결과 각 검사유형별 판plates에서 추출한 컬러값을 sRGB값과 LAB값으로 변환하여 작품진행의 주요 팔레트로 활용하였다. 위의 검사표 배색구성과 조건을 통해 형태와 배경의 배색 관계 에서 ‘보인다’ 또는 ‘보이지 않는다’는 색각이상 판정표의 색은 작품의 주 제 재를 볼 수 있음과 그렇지 않음의 중의적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색채지각 혹은 여러 유형의 색각결함 판정표 색채DB는 작품에 서 재구성하였다. 주제와 관계한 대상지 선정의 이론적 개념 측면에서 ‘공간 은 정치적이다’라는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론과 에드워드 렐프의 장소론에 주목했다. 르페브르는 공간은 전략적이며, 공간형성의 자취를 찾아야 하며 외견 상 보이는 것과 달리 동질적이지 않고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과정과 그 귀 결’이 특정 형태를 통해 드러날 때 공간은 사회적 모순분석의 척도로 작용한 다고 주장했다. 또한 공간을 역사의 산물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자본, 시간- 공간계획이 서로 만나는 곳으로 보았다. 연구자가 주 연구대상으로 주목한 공간은 ‘사회적 공간’이다. 르페브르는 공간을 거론하면서 개념화되고 추상화 된 공간의 예를 들어 문화적 공간, 문학적 공간, 우주적 공간 등 “ ~적 공 간”이라고 하는 수식어를 동반한 모호함에서 벗어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실재적 공간으로 되돌리려는 것이다. “공간의 생산” 머리말에서 좀 더 명확하게 개념을 제시한다. 공간에 대한 개념의 혼돈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말하자면 공중에 부유하는 공간의 실체를 명확히 하여 우리가 발을 딛고 있는 이 땅위에 다시 세우는 것이다. 이 같은 개념의 구체화는 본 연구에서 주요 개념축을 이룬다. 본 연구는 색각시 유형에 기반한 색채팔레트 구성과 그것 을 통한 사회적 공간 표현에 주목하였다. 표현연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이론 고찰을 진행하였다. 첫째, 르페브르가 “공간의 생산”에서 서술했던 공간 생산 의 세 요소 즉, 공간적 실천, 공간재현, 재현공간에 관해 고찰하였다. 둘째, 공간개념을 좀 더 구체화한 공간 곧 장소로의 개념으로 전환하여 연구자가 주목한 실재적 장소들의 생산과정과 맥락을 고찰하였다. 셋째, 이 같은 공간 적 속성과 그 생산물들의 표현 수단으로 색채를 주 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넷째, 작품에 적용할 색채 팔레트 구성을 위해‘한식색각표’를 기기 측정하고 그 결과값을 변환하여 작품에 적용하기 위한 컬러DB를 구축하였다. 또한 온라인 색각판정표를 구성하고 있는 색채의 속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 해 상상의 공간이 아닌 현재 존재하고 있는 체험된 장소로서의 공간을 표현 하였다. 본 작품연구에서 “사회적 공간”표현은 연구자에게 현 사회를 기록하고 기술(記述)하는 행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