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장인 제품의 소비 활성화를 위한 브랜딩 전략 및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한국은 수천 년의 공예 역사를 가지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전통 공예품은 우리 선조들에게는 생활용품이었으며, 자국의 고유한 문화가 깊게 스며들어있는 정신적 유산이다. 그리고 질 좋은...

한국은 수천 년의 공예 역사를 가지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전통 공예품은 우리 선조들에게는 생활용품이었으며, 자국의 고유한 문화가 깊게 스며들어있는 정신적 유산이다. 그리고 질 좋은 전통 공예품을 현재까지 묵묵히 장인정신으로 제작해 오고 있는 장인 및 무형문화재가 존재한다. 유럽 많은 국가의 경우 전통 문화유산과 장인의 존재를 강한 자부심으로 삼고 있으며 이는 곧 한 국가의 상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전통 방식 그대로를 고집하면서도 현재에 맞게 적절히 현대화, 브랜드화하여 현대인들도 공감하고 그 가치를 높이 살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을 마련해왔다. 하지만 한국의 전통 공예품은 원형 그대로 계승, 전승되어 왔지만 옛것에 갇혀 제대로 된 현대화, 브랜드화가 진행되지 않아 소비자와의 접근성이 떨어지며, 해외 수입품과 기성품의 경쟁에서 밀려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전통공예는 곧 국가의 차별화된 지식 자산이며 현재 전통공예 산업 활성화 필요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제는 제품의 질만 가지고 경쟁하는 시대는 지났다. 제품에 스토리를 담고 소비자에게 경험을 전달하는 브랜드 전략을 통해 전통공예를 브랜드화하고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하여 현대인의 일상 속에서도 자연스럽게 그 쓰임을 다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 장인과 제품을 육성 및 브랜드화 하기 위한 브랜드 전략을 제시하고 소비 활성화를 돕는 비즈니스 모델인 판매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전통 공예품 및 장인에 관한 이론연구와 한국 전통 공예 산업 현황에 관한 국내, 외 사례 조사를 통해 문제점과 연구 과제를 도출하여 새로운 장인 제품 판매 플랫폼을 제안하고 플랫폼 시나리오를 통해 장인 1명의 브랜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장인 공예품 판매 플랫폼은 브랜딩이 전혀 되지 않은 공예품을 선정하여 크라우드소싱 방법으로 브랜딩을 진행하고 판매한다. 이 플랫폼은 장인 제품 상품화를 통해 전통이라는 것에 얽매여 소통의 부재를 느꼈던 장인과 소비자 사이에 소통의 창구가 되며, 소비자가 장인 제품을 더 가깝게 느끼고 소비를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본 연구는 중요한 문화 산업 중 하나인 전통공예 산업 브랜드 개발의 필요성을 입증하고 전통공예를 현재 모바일 서비스 트렌드에 맞는 플랫폼과 연결시켜 전통 공예의 브랜드화 방안을 모색했다는데 의의를 둔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공예 산업 및 브랜드화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한국의 전통 공예가 현대화, 세계화 될 수 있는 다양한 대안이 제시되길 바란다.

Korea has thousands of years of craft history. Traditional artifacts from various fields have been a commodity for our ancestors and a mental heritage deeply permeated by our own culture. There are craftsmen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at hav...

Korea has thousands of years of craft history. Traditional artifacts from various fields have been a commodity for our ancestors and a mental heritage deeply permeated by our own culture. There are craftsmen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at have been producing crafts and with exquisite quality craftsmanship. Many countries in Europe have strong pride in the existence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artisans, which acts as a symbolic element of a nation. In addition, they have kept the traditional way, but have been modernizing and branding appropriately to suit the present, and have prepared various ways for the modern people to sympathize and acknowledge its value. On the contrary, Korean traditional crafts have been inherited and passed down as original, but they have not been properly recognized due to lack of modernization and branding. Traditional crafts are the differentiated knowledge assets of the country, therefore, the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craft industry is becoming necessary. The time in which products compete only with their quality has ended. It is now critical to establish a way to brand traditional crafts through brand strategy around product stories, passing on experiences to consumers through active marketing activities resulting in natural use in everyday life. This study suggests a branding strategy to cultivate and brand Korean traditional craftsmen and their products, and suggests business model – a sales platform – to stimulate consumption. The thesis consists of theoretical research on traditional crafts and artisans, also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industry, and suggests a new craftsmen product sales platform by deriving problems and research tasks. The process includes an example using the platform scenario; a brand design collaboration with a craftsman. The sales platform selects the artifacts that are not branded at all and proceeds branding by a crowd-sourcing method. This platform will become a window of communication between craftsmen and consumers who have felt confined to tradition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craftsmanship products and perhaps felt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therefore will help consumers feel closer to crafted products and activate consumption. In this stud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raditional craft industry brand is proved and is implied in sought of branding of traditional craft, by linking with current mobile service trends. Based on this research, I hope that many will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and branding, and will eventually lead to various alternative offers to modernize and globalize Korean traditional crafts.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