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급 한국어 말하기 수업 내 학습자 간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과제 활용 연구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Language learning for improving communicative skills is not driven by teachers' unilateral instruction. Rather, language learners tend to acquire linguistic skills through individually different processes of creative trials and errors. On learners' pa...

Language learning for improving communicative skills is not driven by teachers' unilateral instruction. Rather, language learners tend to acquire linguistic skills through individually different processes of creative trials and errors. On learners' part, teacher-learner and learner-learner cooperative interaction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processes, and successful learning of target languages is directly related to learner-oriented interactions on the assumption of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In that sense, language classes should ensure learner-oriented experiential learning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mutual interactions, and a wide range of opportunities for negotiation of meaning need be given to learners through teacher-learner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s. To guarantee those opportunities for negotiation of meaning, interactive tasks could be a solution. As a way to facilitate and maximize learner-learner interactions in classroom learning, this study focused on a task-based teaching approach so as to suggest principles of task development suitable for practical use in the field and also to suggest actually using of these tasks during the class and ultimately to help enhance learners' communicative skills through further interactions in Korean language speaking classes.
This study wa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Ⅰ deals with the objectives and importance of this study and summarizes previous studies and their contributions and problems. Chapter Ⅱ clarifies what classroom interactions are and why those actions are important to improve communicative skills in Korean language class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and considers the interrelation with interactive tasks as a way to guarantee further interactions. Chapter Ⅲ s on the analyses of actual classroom situations to identify what kinds of interactions are exchanged in Korean language learning classroom setting. The analyses efforts were intended to analyze the types of interactions actually exchanged in current Korean language classes, and to review what kinds of interactions out of those found need promoting. As a result, the present study could validate the need to further learner-learner interactions and suggest a base on which interactive tasks should be designed. Chapter Ⅳ presents principles and examples of developing and designing practical tasks. To guarantee learner-learner interactions, the design should be, first of all, based on 10 principles of task composition. Second, task components are brought up in terms of teachers, learners and teaching materials. Third, types of tasks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ypes of interactions. Fourth, actual examples of tasks considering both functionality and structures and scenes and interaction types are brought forth by setting principles and elements of tasks, selecting task types through the principles and presenting actual examples implementing those principles so that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re ensured. Furthermore, teaching materials are composed by reflecting subjects and scenes, functionalities and structures, and interactive tasks in a simultaneous two-way manner for a balanced task allotment.
This study possibly contributes to establishing methods to help both teachers as classroom participants and learners with their language skill improvement by presenting the how to use of tasks to promote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in beginner-level Korean language speaking classes. Those actual examples of learner-learner interactions including principles for task composition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allow further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in classrooms and activities complementing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Future studies on task development should focus on developing more diverse task examples that can facilitate the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언어 학습은 교사에 의한 일방적인 지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개개인이 겪는 시행 착오를 통해 창조적으로 이루어진다. 학습자들의 교사-학습자, 학...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언어 학습은 교사에 의한 일방적인 지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개개인이 겪는 시행 착오를 통해 창조적으로 이루어진다. 학습자들의 교사-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협력적 상호작용은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목표어의 성공적인 학습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전제로 하는 상호작용과 직결된다. 따라서 언어 교실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학습자 중심의 체험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와 더불어 교사와 학습자 간 또는 학습자 상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 협상 과정의 다양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이러한 의미협상을 위한 기회의 담보를 위해 도입할 수 있는 것이 상호작용적 과제이다.
연구는 이러한 교실 수업의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고 최대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과제 중심 교수법을 기반으로 하여 수업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과제 개발 원리를 제시하고 이것이 실제로 수업 중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여 한국말하기 수업 내의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보장하고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의 신장을 도모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밝히고 본 연구를 위한 선행연구들을 정리하고 선행된 연구들의 의의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한국어 수업에서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교실 상호작용의 정의와 그 중요성을 밝히고 상호작용과 그것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담보로서 상호작용적 과제와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교실 상황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이 교환되는지 그 상호작용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실제 교실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한국어 수업에서 실제 교환되는 상호작용의 유형을 분석하고, 이러한 상호작용의 여러 유형 중에서 어떤 유형이 활성화되어야 하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 상호 간의 상호작용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밝히고 이를 초점으로 하여 상호작용적 과제를 설계함에 있어 정당성을 확보하고 그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실제 과제를 설계하기 위한 개발 원리와 과제 실례를 제시하였다.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담보하는 과제 설계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10가지 과제의 구성 원리를 제시하였다.
둘째, 교수자, 학습자, 교재의 입장에서 과제의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셋째, 상호작용의 유형에 초점을 맞추어 과제 유형을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기능과 구조, 장면과 상호작용 유형을 동시에 고려한 과제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이는 먼저 과제의 원리와 요소를 설정하고 그 원리를 통해 과제 유형을 선별하였으며 그러한 원리를 실현할 수 있는 과제의 실례를 제시하여 실제로 수업 중에 활용되어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교재 구성에 있어서 주제와 장면, 기능과 구조, 그리고 상호작용적 과제를 동시에 양방향적으로 구성하여 균형 잡힌 과제를 배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말하기 수업 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활성화를 위해 실제로 상호작용 유형별로 구성된 과제가 수업 중에 활용되도록 제안함으로 수업의 참여자인 교사에게 도움을 주고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과제 구성 원리와 구성 요소를 포함한 다양한 학습자 상호작용 과제의 실례들은 교실 내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보다 활성화하고 교실 수업을 보완할 수 있는 활동이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과제 개발 연구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과제의 다양한 실례들이 보다 더 많이 개발되길 기대해 본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