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 관련 핵심 이해당사자의 선호도 특성 연구 : 한양도성 주변 성곽마을을 사례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오늘날 세계 인구의 반 이상이 도시로 이주하는 양상과 더불어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형성되고 있다. UN HABITAT III에서는 지속가능...

오늘날 세계 인구의 반 이상이 도시로 이주하는 양상과 더불어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형성되고 있다. UN HABITAT III에서는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과 주거에 관한 정상회의를 통해 도시 성장의 지속가능성과 더불어 도시의 문화 및 유산을 도시 계획과 운영전략의 최우선 사항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논의를 진행 중에 있다(HABITAT III, 2016). 최근 도시재생의 경향도 이러한 관점과 유사하게 역사와 문화를 활용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유형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한양도성 성곽마을의 유산과 도시 환경을 소재로 하여 이에 대한 선호도를 지역주민, 관광객, 정부관계자, 유산 관련 전문가 등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하는데 있다. 또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양도성 성곽마을이라는 도시유산 지구에 대한 논의를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연계되어 도시 공간이 변화하는 과정으로써 해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곽마을 재생사업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위해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2016년 8월 22일부터 10월 16일까지 수행되었다. 설문대상은 성곽마을 재생사업과 연관되어 있는 서울특별시청, 문화재청 직원과 더불어 성곽유산과 연계된 연구기관, 지역주민, 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항목은 마을별 20개의 경관요소로 선정하였으며, 여기에는 문화유산과 같은 역사적 자산과 주민 생활에 편의를 주는 시설, 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심미적 요소 등이 포함되었다. 설문결과 총 398부의 유효설문지가 수합되었다. 다음 단계에서는 SPSS 24를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는 설문 조사 결과의 경관선호도 점수 값을 활용하였으며, 변수는 설문 경관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요인분석은 변수 내 공통적 특성을 공유하는 인자를 추출해내기 위한 것으로 경관항목이 드러내는 특징을 파악하고 인자별 다른 특성을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성곽마을 경관에 대하여 이해당사자가 인식하는 각각 다른 우선가치를 알아볼 수 있었다. 먼저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산출한 경관선호도 점수를 바탕으로 설문대상 집단별 선호경관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요인분석으로 도출된 인자를 통해 마련된 경관요소의 군집을 바탕으로 경관항목이 드러내는 특성을 구분할 수 있어 이해당사자별 선호 경관이 어떠한 가치를 보유하는 인자에 해당하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해당사자별 경관선호에 대한 경향 차이를 논의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에 관한 개념적 논의를 바탕으로 한양도성 주변 성곽마을이라는 지역의 도시재생 사업 관련 선호도에 대해 조사해봄으로써 한양도성 성곽마을의 경관에 대한 이해당사자별 관점 차이를 알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도시 운영과 관련한 사회적인 현상을 해석하고 도시재생 지구를 다루는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oday, it is undeniable that urban sustainability has already been a major issue for humanity lives in worldwide regions. To promote the quality of life in cities, there are various discourses for operationalizing sustainable development as Habitat II...

Today, it is undeniable that urban sustainability has already been a major issue for humanity lives in worldwide regions. To promote the quality of life in cities, there are various discourses for operationalizing sustainable development as Habitat III agenda which proposed specific action plans to make cities as places where inhabitants can lead peaceful, healthy, prosperous, and free lives with full respect of human rights and in which urban culture and heritage are emphasized for urban management(HABITAT III, 2016). From this point of view, understanding urban regeneration using heritage and culture would contribute to provide one of effective urban management strategies and to figure out the processes of urban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urban regeneration using heritage and culture and (2) to examine preferences about heritage and urban environment in Seoul City Wall villages targeting various groups like residents, visitors, municipalities, experts of heritage or urban regeneration and (3) to conduct the explanatory interpretation on the urban regeneration sites as one of the phenomenon to form urban areas by diverse stakeholder.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 22, 2016 to Oct 16, 2016, target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research institute related to heritage management and studies,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of the Seoul City Wall Villages. The variables for each village are composed of twenty landscape elements encompassing historical, social and touristic features. At the end of the survey period, a total of 398 us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or further research stages. The following method in SPSS 24 was used in factor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common factors from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Finally,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primary value among stakeholder. Total preference scores of each landscape elements can be calculated from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groups of variables which share common features can be drawn by the factor analysi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 the different types of values of the landscape elements to understand the preference tendency of different types of stakeholder of the Seoul City Wall Villages. As a result, based on the conceptual founda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This in turn will help to apprehend types of perception toward the Seoul City Wall villages and to classify the groups related to common consciousness about an urban space. Understanding this relationship would help to interpret one of the social process of urban management and to present theoretical bases for dealing with urban regeneration using heritage and culture.

韩语论文题目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