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관련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양육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290명이다. 서울, 경기도, 인천에 10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3명의 도움을 받아 눈덩이 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총 330부를 배포한 후, 311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11부와 연구대상에 적합하지 않는 응답 10부를 제외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집중타당성, 측정모형, 구조모형,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생변인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다른 변인들에 비해 조금 낮은 경향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는 물질적 지지를 제외한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나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내생변인인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양육행동의 온정성과 통제성 변인은 평균 이상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으나 양육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양육행동을 온정성과 통제성으로 구분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육행동의 온정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문화적응 스트레스, 양육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양육행동의 통제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양육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변인의 집중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측정모형은 자료를 비교적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형구축을 통해 경로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모형을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 후, 최종모형을 도출하였다. 최종모형에 따른 구조적 관계를 양육행동의 온정성과 통제성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양육행동의 온정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양육 스트레스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반면, 부모효능감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의 온정성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효능감은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의 온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분 매개하며,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의 온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의 온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행동의 통제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부모효능감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의 통제성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효능감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양육행동 통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분 매개하며,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 통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분 매개하며,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의 통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변인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 중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가장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이다. 결론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개발되어야 하며, 문화차이를 완화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심리적응 프로그램 등 공공기관을 기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여가활동, 체육활동, 문화생활 및 직업교육을 위한 지원을 통해 양육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줘야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특성을 고려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어머니-자녀 간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방법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이 개발되어야 하며, 1회성이 아닌 분기별 또는 일정한 기간을 두고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하여 양육관련 요구도 분석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 및 매뉴얼 개발과 북한이탈주민 전담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결과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양육을 돕기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免费韩语论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