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외래어 지식을 측성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외래어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외래어 적응도 설문조사...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외래어 지식을 측성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외래어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외래어 적응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적응 정도를 살펴보았으며 어휘 지식 평가 형식를 통해 외래어 어휘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지식과 성별, 나이, 남한 거주 기간, 남한 생활에서 느끼는 만족도 등의 개별 변인이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통계 프로그램 SPSS 21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그 효과가 검증된 전략 중 기억 강화 전략에 해당하는 그림 활용하기 전략, 연관어 연결 짓기 전략 그리고 문장 만들기 전략을 사용한 외래어 학습이 북한이탈주민의 개별변인에 따라 그 성취도와 장․단기 기억에 미치는 영향과 연구 참여자의 집단별 효과적인 외래어 학습 전략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효과적인 외래어 학습을 위한 학습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교재 모형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적응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지식과 개별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학습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어휘 학습 전략은 무엇인가? 넷째, 북한이탈주민의 개별변인과 외래어 학습 성취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다섯째,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효과적인 외래어 학습 방안은 무엇인가?
먼저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적응 양상과 개별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17명의 남한 사람과 57명의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외래어 적응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57명의 북한이탈주민에게 외래어 어휘 지식 평가를 실시하였다. 외래어 적응 설문조사 결과, 현재 북한이탈주민은 외래어 부적응으로 인해 남한 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습 교재를 통한 외래어 학습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외래어 지식 평가 결과, 남한 생활에서 느끼는 만족도가 높을수록 정답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나이, 거주기간은 외래어 어휘 지식 정도와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휘 중요도가 높은 단어일수록 북한이탈주민의 정답률도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어휘 학습 전략을 사용한 외래어 학습 성취도를 살펴보기 위해 단순암기와 세 가지 어휘 학습 전략(그림 활용하기 전략, 연관어 연결 짓기 전략, 문장 만들기 전략)을 사용하여 21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외래어 학습 및 어휘 평가를 실시한 후 정답률의 양상 및 장·단기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답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어휘 학습 전략은 즉각 평가에서는 연관어 연결짓기 전략이, 지연 평가에서는 문장 만들기 전략인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청소년 집단에서 고입반 학습자의 지연 평가에서 세 전략 사용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개별변인과 외래어 학습 성취도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거주기간을 제외한 성별, 나이, 그리고 만족도가 영향을 끼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끝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험에 참여한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들은 어휘 학습 전략을 통한 외래어 학습이 효과적이라고 느꼈으며 그 중 연관어 연결 짓기 전략과 문장 만들기 전략이 외래어 교재 개발 시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두 번의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외래어 학습 교재 모형의 실물을 제시하였으며 외래어 적응 방안을 제안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북한이탈주민을 성별, 나이, 거주기간 등의 정형화된 기준뿐만 아니라 정의적 요소인 남한 생활 만족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로, 북한이탈주민의 상황을 고려하여 어휘 중요도에 따라 실제적이고 체계적으로 외래어와 관련 문화를 학습할 수 있는 교재가 필요하다. 셋째로,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학교와 직장으로 들어가기 전에 사회 적응에 필요한 언어 능력과 정서적 안정을 갖출 수 있는 정착 프로그램이 지역 사회와 정부 차원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외래어 어휘 지식 평가를 통해 개별 변인과 외래어 어휘 지식 정도 간의 상관성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선행연구들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 남한 거주 기간 등의 변인에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외래어 능력이 성별, 나이, 그리고 남한 사회에 대한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험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외래어 학습 방안 및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충분한 설문 참여자의 수가 확보되지 못했고 설문 참여자의 나이, 거주 기간의 분포가 고르지 못해 실험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어휘 학습 전략 사용 과정을 통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