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자본이 20대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본 연구는 문화자본문화예술교육 참여는 상호 연관성이 있다는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자본이 현대사회 문화예술교육 사각지대에 있는 20대의 문화예술교육 참여미치영향...

본 연구는 문화자본과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상호 연관성이 있다는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자본이 현대사회 문화예술교육 사각지대에 있는 20대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에 미치영향을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시 거주 19세~29세 대학생 및 직장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11월 14일에서 11월 20일까지 인터넷에 게시하여 온라인 자기기입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30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SPSS 23.0을 통해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속자본 ‘만 12세 이전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현재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와 참여 의향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여기서 더 나아가 현재의 문화예술교육 참여 여부가 향후 문화예술교육 참여 의향으로 이어진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가지고 있는 연속성을 발견하였다. 둘째 획득자본 ‘문화소양’은 문화예술교육 참여와 향후 참여 의향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문화자본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문화예술교육 참여라는 행위로 이어지는 만큼 추후 적합한 척도를 개발하여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최근 1년 이내 문화활동은 문화예술교육 향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는 문화활동이 다음의 경험적 활동으로 재생산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넷째 문화예술교육 향유에 있어 중요한 것은 주입식 교육으로 축적된 문화지식이 아닌 실제 문화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선행연구를 통해 발견한 20대 변수 중 직업과 고용형태가 문화예술교육 향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문화예술교육에 가장 많은 참여를 보이는 집단은 20대 후반 정규직 직장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화자본에 따른 20대의 문화예술교육 향유의 영향에 대해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로서 DiMaggio(1982)의 문화자본 직접측정지표를 바탕으로 한국적 지표를 재구성한 최샛별·이명진(2013)의 문화자본 지수 측정 지표를 20대에게 적용하였으며, 국내 문화향수실태조사에서 사용되는 문화예술교육 항목 및 문항을 추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후속연구를 통해 문화자본 직접 측정 지표가 더욱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며, 상속자본과 획득자본의 차이에 따른 정책적 대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Based on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es that cultural capital and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are correlated,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the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by people in ...

Based on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es that cultural capital and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are correlated, this study researched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the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by people in their 20s located in the dead zone of culture & art education in modern society. Data was collected from undergraduates and office workers in their 19-29 in Seoul. Posting the onlin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14th to November 20th 2016, total 30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rough SPSS 23.0 for data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below. First, the 'experience in culture & art education before 12 years old' as inherited capita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urrent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and also intention to participate. Moreover, through the result showing that the matter of current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is led to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culture & art education in the future, the continuity of culture & art education was discovered. Second, the 'cultural refinement' as acquired capital had effects on both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As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cultural capital is led to the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the follow-up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y developing a suitable scale in the future. Third, the cultural activity within the recent one year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joyment of culture & art education. It accords with the preceding researches saying that cultural activity is reproduced as the following experiential activity. Fourth, what is important to enjoy culture & art education would be the actual cultural activity, instead of cultural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cramming education. Fifth, among variables of the 20s discovered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the occupation and employment typ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joyment of culture & art education. The group showing the biggest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 education was the full-time office workers in their latter 20s. As the initi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the enjoyment of culture & art education of people in their 20s, this study applied the cultural capital measuring index by Choi, Saet Byeol and Lee, Myeong Jin(2013) recomposing the Korean-style index based on the cultural capital direct measuring index by DiMaggio(1982) to the subjects in their 20s, and also extracted items & questions of culture & art education used for the domestic cultural enjoyment survey. It would be necessary to materialize the cultural capital direct measuring index through the follow-up research, and also to seek for institutional measures in accordance with differences in inherited capital and acquired capital.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范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