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창작그림책과 번역 창작그림책 속 노인의 외적 특징과 활동을 할아버지와 할머니로 나누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림책에 나타나는 문화적 보편성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노인... 본 연구는 국내 창작그림책과 번역 창작그림책 속 노인의 외적 특징과 활동을 할아버지와 할머니로 나누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그림책에 나타나는 문화적 보편성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노인에 대한 유아의 긍정적인 인식 형성을 돕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2014년까지 단행본으로 출판된 국내 창작그림책과 번역 창작그림책 중 노인이 등장하는 유아용 그림책 총 70권이다. 창작그림책 속 노인 등장인물은 총 80명이었다. 노인의 외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Sciplino, Smith, Hurme, Rusek & Backvik(2010)의 도구를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노인의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Janelli와 Sorge(2002), Sciplino 외(2010)의 도구를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국내 창작그림책과 번역 창작그림책 속 노인의 외적 특징과 활동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그림책 속 노인의 외적 특징 분석결과, 국내 창작그림책과 번역 창작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외적 특징은 비교적 유사하게 묘사되었으나, 소지품의 하위항목에 차이가 있었다. 즉, 할아버지가 수건을 머리나 목에 두르고 있는 모습이 번역 창작그림책에는 묘사되지 않은 반면, 국내 창작그림책에만 묘사되었다. 또한 국내 창작그림책과 번역 창작그림책 속 할머니의 외적 특징은 머리․얼굴, 의복․신발, 소지품, 체격․자세의 하위항목에서 차이가 있었다. 국내 창작그림책 속 할머니는 번역 창작그림책 속 할머니에 비해 파마머리, 전통신발, 구부정한 허리가 더 많이 묘사되었고, 일바지(몸빼), 비닐봉지/소쿠리/보따리는 국내 창작그림책 속 할머니에게만 묘사되었다. 반면, 번역 창작그림책 속 할머니는 국내 창작그림책 속 할머니보다 스웨터/숄, 원피스, 구두, 가방, 뚱뚱한 체격이 더 많이 묘사되었으며, 액세서리는 번역 창작그림책 속 할머니에게만 묘사되었다. 둘째, 창작그림책 속 노인의 활동 분석결과, 국내 창작그림책과 번역 창작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활동 중 손 자녀 양육활동, 여가활동, 경제활동은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일상생활활동의 하위항목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번역 창작그림책에서 돌봄을 받는 할아버지가 국내 창작그림책보다 더 많이 묘사되었다. 또한 국내 창작그림책과 번역 창작그림책 속 할머니의 활동 중 일상생활활동과 손 자녀 양육활동은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여가활동과 경제활동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국내 창작그림책과 번역 창작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외적 특징과 활동은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나 문화적 보편성을 보여준 반면, 할머니의 외적 특징과 활동은 우리 문화와 서구 문화 간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창작그림책 속 노인의 외적 특징과 활동을 좀 더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하여 유아의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elderly's external features and activities shown in domestic creative picture books and foreign ones translated by dividing them into grandfas' and grandmas' and thereby, examine the cultur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elderly's external features and activities shown in domestic creative picture books and foreign ones translated by dividing them into grandfas' and grandmas' and thereby, examine the cultural universality and differences shown in the picture books and, thereupon, find the ways to help younger children to have a positive sentiment toward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70 domestic and foreign creative picture books featuring the elderly people (published until 2014) were sampled. The number of the elderly figures in the picture books was 80 in total. In order to analyze the elderly's external features, this study translated and modified Sciplino, Smith, Hurme, Rusek & Backvik's (2010) scale, and in order to analyze their activities in the picture books, this study interpreted and modified Janelli and Sorge's (2002) scale and Sciplino, et. al.'s (2010) one.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for means and SDs, while the differences of the elderly's external features and activities shown in domestic and foreign picture books were analyzed by means of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lderly's external features in the picture books,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s external features were relatively similarly described in both picture books b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books in terms of the belongings. Namely, few foreign picture books describe a grandfa with a scarf wrapped around head or neck; only domestic picture books describe such features. In addition, there were foun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of grandmas between two groups of picture books: hairs, face, costume, footwear, belongings, body shape and posture. Domestic picture books describe permanent hair styles, traditional footwear and curved back more. In particular, such features as baggy pants, vinyl pack, basket and pack were depicted only in the domestic picture books. In contrast, the grandmas featured in the foreign picture books were dressed in sweater/shoal or one-piece with the shoes and bag on. They were mostly fat. Accessories were depicted for the grandma only in the foreign picture book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elderly's activities in the picture books, grandfas' activities such as fostering grandchild, leisure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were found common between two groups of picture books, but their details of ordinary life differed. Namely, the grandfas being taken care of were more described in the foreign picture books than in the domestic ones. In addition, although grandmas' ordinary activities and grandchild fostering were similar between two groups of books, but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economic ones were different. In conclusion, grandfas' external features and activities were similar in overall terms between two groups of picture books, which suggests some cultural universality. However, in terms of grandmas' external features and activities, there were much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books. All in all, it is required of our domestic creative picture book editors to express the elderly's external features and activities in more diverse ways to help our children to have more positive sentiment toward them. 참고문헌 (Refer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