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사회에서 기업은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인재육성과 높은 수준의 학습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터학습의 활동을 촉진시켜야 하며, 조직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지식사회에서 기업은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인재육성과 높은 수준의 학습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터학습의 활동을 촉진시켜야 하며, 조직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일터학습은 구조화된 학습과 직원들 간 상호작용 등을 통해 조직 구성원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의미한다. 조직차원의 특성들은 일터학습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일터학습을 통한 지식의 습득과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조직 구성원들은 조직 내 소속감을 형성하여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와 정서적 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조직문화 인식이 일터학습 활동을 매개로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조직문화 인식이 일터학습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조직문화 인식이 정서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조직문화 인식과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일터학습 활동이 매개하는가? 이다. 독립변수인 조직문화는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시장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네 가지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여 매개변수인 일터학습의 형식학습 활동과 무형학습 활동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직문화 네 가지 하위변인이 일터학습 활동을 매개로 종속변수인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레미콘 제조 기업 중 하나인 S그룹에 재직 중인 임직원 총 332명의 응답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인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다. 국내 레미콘 시장의 800여개 기업 중 대기업군에 속한 ‘Big 4’는 전체 시장의 20% 매출을 차지하고 있다. S그룹은 매출과 시장점유율에서 국내 1위 기업이며, 레미콘 시장의 40% 차지하는 수도권 지역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사업의 수직계열화를 통해 레미콘을 비롯한 골재, 분체, 시멘트 분야에서 수위를 차지하는 등 건설기초소재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S그룹은 레미콘 제조산업의 대표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는 일터학습 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의 하위변인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시장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모두 일터학습의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에 각각 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하위변인 중에서 관계지향문화가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관계지향문화가 추구하는 조직 구성원들 간의 강한 소속감, 상호신뢰, 공동의 가치와 목표, 조직에의 참여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일터학습의 효과가 증대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직문화의 하위변인인 시장지향문화와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일터학습 활동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업지향적인 문화’로 정의되는 시장지향문화는 특히 영리 조직에서 강조되는 문화이다. 경쟁력과 생산성이 강조되는 시장지향문화에서 조직 구성원들에게 단순히 조직의 목표달성만을 요구할 것이 아니라, 일터학습을 통해 구성원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조직이 함께 성장해 갈 수 있음을 강조하고, 조직 구성원들이 이를 수용할 때 정서적 몰입이 제고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조직문화의 하위변인인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와 정서적 몰입의 관계에서 일터학습 활동이 각각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의 문화에 따라 정서적 몰입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요인 중 일터학습 활동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넷째, 일터학습의 형식학습 활동에 비해 무형식학습 활동이 정서적 몰입에 더 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터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구성원은 숙련된 동료나 상사와 상호작용을 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지식을 습득하고 조직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는 무형식학습의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며 동시에 형식학습이 가지는 제약을 극복하고, 조직 구성원의 정서적 몰입을 제고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임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못한 조직문화, 일터학습 그리고 정서적 몰입의 통합적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일터학습 측정도구의 새로운 개발과 무형식학습의 구조적 접근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