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게임 몰입성과 유아의 정신건강, 어머니의 양육태도 간의 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신건강이 유아의 게임 몰입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유...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게임 몰입성과 유아의 정신건강, 어머니의 양육태도 간의 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신건강이 유아의 게임 몰입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유아의 게임 과몰입성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요인들을 바탕에 두고, 유아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신건강의 수준이 유아의 게임 몰입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게임 과몰입을 예방하고 적절히 중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게임 몰입성과 유아의 정신건강, 어머니의 양육태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의 게임 몰입성 정도에 따라 유아의 정신건강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성별에 따라 게임 몰입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6개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다니는 만 4-5세 유아의 어머니 165명이었다. 유아의 게임 몰입성은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에서 개발한 유아 및 초등 저학년을 위한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척도를 게임에 맞는 문항으로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정신건강은 Goodman(1997)이 Rutter Questionnaire를 기본으로 하여 개발되어 안정숙․전성균․한준규․노경선(2003)이 번역하여 타당화한 한국어판 강점ㆍ난점 설문지(SDQ: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Crase, Clark와 Pease(1978)가 개발한 IOWA 부모양육행동 척도(IPBI: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 Mother Form)를 홍계옥(1995)이 우리나라의 문화에 맞게 번안ㆍ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F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게임환경문제와 게임행동문제가 많을수록 사회지향행동을 덜 보이는 대신, 과잉행동․정서증상․행실문제․또래문제는 유의미하게 더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합리적지도, 한계설정, 애정성, 반응성의 수준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지향행동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합리적지도, 한계설정, 애정성, 반응성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정신건강문제인 과잉행동, 정서증상, 행실문제, 또래문제를 많이 보일수록 어머니의 합리적지도, 한계설정, 애정성, 반응성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게임 몰입성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아가 게임지향적 생활, 금단 및 정서증상의 게임행동문제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game indulgence, mental health in early childhood and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65 mothers and their children. Game indulgence was assessed b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game indulgence, mental health in early childhood and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65 mothers and their children. Game indulgence was assessed by the modified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for early childhood(Korea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6), mental health was assessed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SDQ), and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s was measured by modified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IPBI).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T-test and F-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ame indulgence and mental health problem(hyperactivity, emotional symptoms, conduct problem, peer problem).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ame indulgence and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s(rational guidance, limit-setting, affectionity, reactivit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Boys showed higher scores game indulgence than girls. ,韩语论文范文,韩语论文范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