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실제 연령은 40~50대이지만 20~3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여성복 브랜드를 착용하는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의 20~30대 대상 브랜드 의복의 착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의복의 맞음새에 ... 본 연구는 실제 연령은 40~50대이지만 20~3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여성복 브랜드를 착용하는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의 20~30대 대상 브랜드 의복의 착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의복의 맞음새에 관한 문제를 고찰하고, 이들의 맞음새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의복의 아이템은 테일러드 재킷이며, 연구의 최종 목표는 다운에이징(down-aging) 중년 여성에게 적합한 재킷 패턴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본 연구의 타깃 연령인 40~50대 중년 여성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패션소비에 있어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과 그렇지 않은 집단(이하 논다운에이징 집단이라 함)을 구분하여 재킷 착용실태 및 맞음새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제 7차 Size Korea 데이터를 활용하여 20~30대와 40~50대 여성의 인체치수를 비교 분석하여 40~50대 여성이 20~30대를 타깃으로 하는 의복을 착용하였을 경우, 어떤 맞음새 불편사항이 나타날지에 대해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타깃 집단인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의 인체치수를 살펴보기 위해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을 선별하여 직접측정을 통해 재킷 패턴 설계에 필요한 인체치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 여성복 브랜드를 20~30대 여성이 타깃인 브랜드와 40~50대 여성이 타깃인 브랜드로 구분하여 소비자 선호도가 높았던 브랜드를 선별하여 재킷에 대한 시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타깃 연령으로 구분한 브랜드군에 따라 테일러드 재킷의 디자인, 실루엣, 디테일, 제품치수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개발하기 위한 재킷 패턴의 디자인 선정 시 참고하였다. 설문조사 및 시장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을 위한 재킷 디자인을 선정하고, 선정된 재킷을 판매하고 있는 20~30대 여성이 타깃인 여성 캐주얼 브랜드 5업체의 구호칭 55(S), 66(M)사이즈의 패턴을 수집하여 패턴치수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패턴으로 머슬린 재킷을 제작한 후 다운에이징 집단의 평균 인체치수에 해당하는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착의평가를 수행하여 가장 만족도가 높은 패턴을 선별하였으며, 선정된 패턴을 기준으로 착의평가 결과를 종합하고 수정사항으로 지적된 항목은 최종 수정하여 연구패턴을 설계하였다. 1차 연구패턴을 기준으로 머슬린과 실물원단을 적용하여 재킷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재킷은 앞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의평가를 실시하였다. 1차 연구패턴 착의평가 이후, 수정항목을 적용하여 최종 연구패턴을 설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착의평가를 진행하여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들에게 적합한 재킷 패턴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여성을 다운에이징 집단과 논다운에이징 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 재킷 구매 및 맞음새 선호도에 대해서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재킷 선택 시 중요한 점에 대한 문항에서는 다운에이징 집단은 디자인을 1순위로 응답한 반면 논다운에이징 집단에서는 사이즈 및 맞음새를 1순위로 응답하여, 두 집단 사이에 재킷의 구매 및 선호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재킷 착용사이즈는 다운에이징 집단에서는 S(55)사이즈를 가장 많이 착용하는 반면, 논다운에이징 집단에서는 M(66)사이즈를 가장 많이 착용하였다. 다운에이징 집단 중년 여성들이 선호하는 재킷 스타일은 심플, 모던한 스타일을 선호하고, 슬림핏의 재킷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중년 여성들은 다운에이징 여부에 상관없이 재킷 착용 시 위팔과 진동부분이 가장 불편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다운에이징 집단의 중년 여성들의 인체치수를 직접측정한 결과, 다운에이징 집단 구분에 따라서 같은 연령대 여성이지만 인체치수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 가슴둘레, 젖가슴둘레, 앞품과 뒤품 등으로 상의 패턴 제도 시 주요 치수이며, 차이가 난 항목들 모두 유의한 차이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 집단의 값이 유의하게 작게 나타났다. 또한, 2030세대의 여성들과도 가슴둘레,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등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 모두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 집단의 인체치수 값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의 주요 항목 평균 인체치수는 키 159.91cm, 몸무게 53kg, 젖가슴둘레 88.47cm, 허리둘레 73cm, 엉덩이둘레 91.26cm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여성복 브랜드에서 시판되는 재킷의 핏, 실루엣, 재킷의 길이, 소매 겹트임 및 가슴 웰트 포켓의 유무, 재킷의 칼라 및 포켓, 벤트, 프린세스라인 종류에서 20~30대를 타깃으로 하는 여성 캐주얼 브랜드와 40~50대를 타깃으로 하는 중년 여성복 브랜드의 재킷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브랜드 타깃 연령으로 구분한 브랜드군에 따라 재킷 디자인 및 디테일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킷의 제품치수 조사 결과 S(55)사이즈에서는 가슴둘레, M(66)사이즈에서는 어깨너비, 소매길이, 가슴둘레의 항목에서 여성 캐주얼 브랜드와 중년 여성복 브랜드와의 제품치수에서 유의차가 나타나 디자인 및 디테일뿐만 아니라 패턴 세부 치수와 관련이 밀접한 제품치수에 있어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20~30대를 타깃으로 하는 여성 캐주얼 5개 브랜드의 패턴으로 제작한 머슬린 재킷을 S(55), M(66) 사이즈별 3명씩 총 6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착의평가하여 우수한 브랜드의 패턴을 선별한 결과, 연구대상자 외관평가와 전문가 외관평가 결과에서 1순위였던 D업체의 패턴이 가장 맞음새가 우수한 패턴으로 선별되었다. 다섯째, 5개 브랜드의 재킷 패턴 중 S(55), M(66) 사이즈의 재킷을 착용하는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 연구대상자 집단 착의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D업체 패턴을 기준으로 착의평가 결과 중 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정리하여 1차 연구패턴을 설계하였다. S(55), M(66) 사이즈 모두 전면, 측면, 후면 모두 허리가 들어가 보이고 날씬해 보이도록 허리다트 분량을 수정하였으며, 소매의 핏도 날씬해 보이도록 소매밑단둘레의 항목 등을 수정하였다. 동일한 1차 연구패턴으로 시장조사에서 선별된 실물원단으로도 제작하였다. 제작된 재킷은 기존복 착의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가 진행되었으며, D업체 패턴과 1차 연구패턴의 맞음새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머슬린으로 제작한 재킷의 경우, 소매와 재킷길이에 대한 수정 사항만 나타난 반면, 실물원단으로 제작한 재킷은 소매와 재킷길이에 대한 수정뿐만 아니라 가슴둘레, 허리둘레, 팔꿈치둘레, 소매밑단둘레와 같은 둘레 치수에 대해 수정이 필요하였으며, 같은 패턴을 적용하여 제작하여도 원단의 물성에 따라 맞음새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실물원단의 물성은 폴리우레탄이 함유된 원단으로 원단의 신축성으로 인해 제작된 재킷의 최종 제품치수가 달라졌을 것으로 파악되어, 머슬린 재킷과 실물원단 재킷의 제품치수 차이를 확인하고 치수 차이값에 대하여 최종 수정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수정된 패턴으로 제작한 실물원단 재킷의 만족도는 1차 연구패턴으로 제작한 실물원단 재킷에 비해 수정된 항목에서 치수만족도와 치수적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머슬린에 적합한 패턴을 비스트레치(우븐, 직물) 원단에 적합한 다운에이징 중년 여성에게 적합한 맞음새의 패턴으로 판단되어, 여성복 브랜드에서 패턴 제작 시 기준이 되는 S(55) 사이즈의 패턴의 제도법을 제안하였으며 S(55)의 기존패턴에서 M(66)사이즈로 그레이딩 시 편차값을 제안하였다. 또한, 비스트레치 원단에 적합한 패턴을 기준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스트레치 원단에 적합한 패턴 수정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 여성들이 선호하는 20~30대를 타깃으로 하는 국내 여성복 브랜드에서 점차 넓어지는 소비자의 연령대 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사이즈 체계 및 그레이딩 방법, 패턴 및 소재 설계 시 기초 자료가 되길 바라며, 중년 여성들을 타깃으로 하는 여성복 브랜드에서는 변화하는 중년 여성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의 디자인 및 맞음새 선호도를 분석하여 그들이 원하는 패턴 및 제품 디자인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