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성인의 지각된 차별감, 문화적 정체감, 한국사회 적응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 재한 중국인을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국문 초록 다문화 성인의 지각된 차별감, 문화적 정체감, 한국사회 적응삶의 만족 간의 관계: 在韓 중국인을 중심으로 김 영 화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

국문 초록 다문화 성인의 지각된 차별감, 문화적 정체감, 한국사회 적응삶의 만족 간의 관계: 在韓 중국인을 중심으로 김 영 화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는 조선족과 한족을 포함한 在韓 중국인을 중심으로 다문화 성인의 지각된 차별감, 문화적 정체감 및 한국사회 적응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현재 한국에 체류 중인 중국인 262명으로 남성이 69명(26.3%), 여성이 193명(73.7%)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20세에서 66세였고, 평균 연령은 36.4세(SD=9.9)이었다. 대상자 중 귀화자가 63명(24.0%), 비귀화자가 199명(76.0%)이었다.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한 중국인, 특히 조선족들이 과거 단순 노동과 서비스 업종에 주로 종사하던 양상에서 벗어나 경제 및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고 있으며, 향후 중국에 돌아가기보다 한국에 이주하길 원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국한 기간이 긴 집단과 한국으로 귀화한 집단이 한국문화 정체감이 높고 한국사회 적응 수준이 높았다. 또한 한국문화 정체감이 높을수록 한국에 체류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적 정체감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지각된 차별감은 문화적 정체감, 한국사회 적응, 삶의 만족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문화적 정체감은 한국사회 적응, 삶의 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넷째, 재한 중국인들의 삶의 만족에 지각된 차별감과 한국사회 적응은 유의한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각된 차별감과 한국문화 정체감은 재한 중국인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삶의 만족에 중요한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한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다문화 사회를 위한 여러 가지 정책과 사회적 지원의 제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후속 연구를 위해 논의하고 제언을 하였다. 주요어 : 다문화, 재한 중국인, 조선족, 지각된 차별감, 문화적 정체감, 한국사회 적응, 삶의 만족

ABSTRACT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Cultural Identity, Adaption to Korean Socie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Adults : Focused on the Chinese in South Korea Ying Hua Ji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Department o...

ABSTRACT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Cultural Identity, Adaption to Korean Socie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Adults : Focused on the Chinese in South Korea Ying Hua Ji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cultural identity, adaption to Korean socie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adults, especially the Chinese i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were 262 Chinese who were residing in South Korea, involving 69 men(26.3%) and 193 women(73.7%), their mean age was 36.4 years(SD=9.9). Among the participants, 63 persons(24.0%) naturalized in South Korea and 199 (76.0%) were still maintaining Chinese nationa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nese, especially the Korean-Chinese, have shifted away from the traditional occupations of simple labor and service industries, their economic and social status is rising, and more people wanted to settle in Korea than return to China in the future. Second, The group with a long period of immigration and the naturalization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a high level of adaption to Korean society. Besides, the higher level of Korean cultural identity they showed, the more hoped to stay in Korea, which implicat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Third, the perceived discrimin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ultural identity, adaption to Korean society, and life satisfaction. Cultural identity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the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were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in South Korea. From th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the cultural identity are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in South Korea. This result can be utilized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various policies and social support. Limitation and suggestion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 words:Multiculture, Chinese in South Korea, Korean-Chinese, perceived discrimination, cultural identity,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life satisfaction

韩语毕业论文韩语毕业论文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