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 후 성장 과정 내러티브 탐구 :반추를 중심으로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Naturally, every individual experiences great and small crises of lif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is crisis as an opportunity for personal growth and reveal the posttraumatic growth. To achieve this, it describes rumination proc...

Naturally, every individual experiences great and small crises of lif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is crisis as an opportunity for personal growth and reveal the posttraumatic growth. To achieve this, it describes rumination process, major factor for growth by focusing on the interaction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s suffering from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dynamics and everyday life. The objective of this is to provide data helpful for eliciting recovery and positive growth from those who experienced trauma. As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to explore human’s inner psychological process and social situations comprehensively. To conduct research, four research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rauma were selected and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 was executed with research participants twice or three times. In addition, it used research participant’s records and notes and meaningful poems, phrases, and songs as reference data. And based on this, four stories were composed and major research conclusions were drawn from researcher’s interpretation and analysis. The conclusions discussed after finding coidentity from these four stories are as follows. First, invasive rumination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ge when trauma was experienced and type of trauma. Traumatic experience and continuous and repetitive trauma during childhood remained implicitly in memories. On the other hand, single traumatic experience during adulthood was an experience that could shake the existing belief system, which caused confusion. However, childhood trauma and repetitive trauma also activated intentional rumination, which led to posttraumatic growth, like adulthood trauma Second, social support is a major foundation for self-awareness and understanding. Social support helps to be out of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fficulty resulting from trauma and gives an individual power to recognize herself. In addition, emotional support obtained from surrounding people served as the biggest factor. Third, self-awareness triggers understanding of traumatic events. Awareness of one’s status, role, cognition, and emotion activates intentional rumination to understand traumatic experience and oneself who was influenced by the trauma. Fourth, posttraumatic growth happens gradually through an individual’s practice in everyday life. Once the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traumatic experience is triggered, specific behavior strategies are practiced for change, for looking for the meaning of the traumatic experience later. And interaction occurs within the society and culture, feedbacks are given and received, and the changes in the existing belief and values are brought about. Fifth, the final direction of posttraumatic growth is being oneself. An individual’s direction for growth means being oneself existentially by integrating oneself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t means that one accepts one’s past, is responsible for one’s future life, and lives feeling the present now vividly. This study could explore the process to elicit posttraumatic life more positively and the central conclusions are as follows: social support for an individual who experienced trauma secures stability and earns the basis for converting invasive thought from invasive rumination to intention one. Intentional rumination triggers understanding of trauma experience and oneself who was influenced by the trauma and gains an opportunity to change. For change, an individual practices behavior strategies in everyday life. Afterwards, feedbacks are given and received socially and culturally, which sophisticates self-reflective rumination and in this process, beliefs and values are gradually modified and developed.

개인은 일생을 살아가면서 한 번쯤은 크고 작은 삶의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위기를 한 개인의 성장을 위한 계기로써 조명하여 외상성장(Posttraumatic Growth )과정을 밝히...

개인은 일생을 살아가면서 한 번쯤은 크고 작은 삶의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위기를 한 개인의 성장을 위한 계기로써 조명하여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때문에 한 개인의 심리적 역동과 일상생활에서 겪는 사회·문화적 맥락내간의 상호작용을 중점으로 살펴보면서 성장을 위한 주요 요인인 반추(rumination)의 이행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외상 경험자들의 회복과 긍정적인 성장을 이끌도록 조력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한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으로는 인간 내면의 심리적과정과 사회적 상황을 통합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질적 연구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외상을 경험한 4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을 위해 2회 또는 3회의 심층면접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기록 및 메모, 의미 있었던 시, 글귀, 노래와 같은 자료를 함께 참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4개의 이야기를 구성하였고 연구자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주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4개의 이야기의 동일성을 찾고 논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을 경험한 연령과 외상 유형에 따라 침습적 반추는 다르게 나타난다. 아동기 외상 경험과 지속 반복적인 외상은 암묵적으로 기억에 남았다. 반면 성인기에 겪은 단일적 외상경험은 기존 신념체계를 뒤흔드는 경험이며 이로 인해 혼란을 야기한다. 그리나 아동기외상, 반복적 외상 또한 성인기 외상과 마찬가지로 의도적 반추를 활성화하여 외상 후 성장으로 이끌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자기인식과 이해를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된다. 사회적 지지는 외상으로 인해 정서적, 물리적 곤란에서 벗어나도록 도우며 개인에게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힘을 준다. 또한 주변 사람들에게 얻는 정서적 지지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자기인식은 외상 사건에 대한 이해를 촉발한다. 자신의 상태, 역할, 인지, 감정에 대한 인식은 외상 경험을 이해하고 외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는 의도적 반추를 활성화 시킨다. 넷째, 외상 후 성장은 개인의 실천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자신과 외상 경험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게 되면 이후 외상 경험의 의미를 찾기 위해, 변화를 위해 구체적 행동 전략으로 실천된다. 그리고 사회·문화 내에서 상호작용하면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기존의 신념과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다섯째, 외상 후 성장의 최종적 방향은 자기됨이다. 개인의 성장 방향은 과거, 현재, 미래의 자신을 통합하여 실존적 자기됨을 의미한다. 과거의 자신을 수용하며, 미래의 자기 삶을 책임지며 지금 현재를 생생하게 느끼며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를 통해 외상 후 삶을 보다 긍정적으로 이끌 수 있는 과정을 탐색하였고 중심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외상을 겪은 개인의 사회적 지지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여 침습적 반추에서 의도적 반추로 전환하는 기반을 얻는다. 의도적 반추는 외상 경험과 외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자신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며 변화의 계기를 얻게 된다. 변화를 위해 개인은 행동전략을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하게 된다. 이후 사회·문화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자기 성찰적 반추로 정교화 되어 점진적으로 신념과 가치관을 수정하며 성장하게 된다.

韩语论文题目韩语论文网站
免费论文题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