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학생과의 접촉경험이 다문화수용성과 일본인식에 미치는 영향 [韩语论文]

资料分类免费韩语论文 责任编辑:金一助教更新时间:2017-04-28
提示:本资料为网络收集免费论文,存在不完整性。建议下载本站其它完整的收费论文。使用可通过查重系统的论文,才是您毕业的保障。

This study started with the need for efforts to solve prejudices and stereotypes of members with diverse cultural contexts in wel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by the year 2020. The contact experience that occurred under specific contextual condition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need for efforts to solve prejudices and stereotypes of members with diverse cultural contexts in wel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by the year 2020. The contact experience that occurred under specific contextual conditions has an effect on migrating bias and transitioning to a positive relationship.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alteration of students’ perceptions and the chang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ccording to the contact experience in that the elimination of prejudice against a specific race or ethnic group that makes cultural relativity recognizable and positively influences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For this purpose, 29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participating in ‘Global English Camp’ in English Village were sele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irect contact with Japanese students,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Multicultural Acceptance Scale’ developed by Mijin Kim and Okboon Jeong(2010) was used, and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Also, in order to measure the Korean students’ continuous thinking change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process and behavior, narrative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 were conducted during and out of clas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itive difference in Korean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after contact with Japanese studen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xperience of staying abroad, and grade,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and experience of staying abroa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grade. Second, it is confirmed that Korean students’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their recognition of Japan before and after their contact with Japanese students was changed positively. The Korean students’ perception of Japan before the experience of contact with Japanese students showed an irrational structure which imputes negative historical perception to the Japanese students.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is far from the multicultural situation in Korea. After the contact experience, it was recognized that cultural relativity in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changed to a rational viewpoin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students should be preceded for and effective direct contact. As can be seen from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multicultural openness was lowered, rather than after the contact experience. Therefore, sufficien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eceded by various types of direct contact experiences that will occur in the upcoming multicultural society.

본 연구는 2020년 다문화인구의 증가 등 다문화사회를 맞이함에 있어 다양한 문화적 맥락을 가진 구성원들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서 시작하였다. 특...

본 연구는 2020년 다문화인구의 증가 등 다문화사회를 맞이함에 있어 다양한 문화적 맥락을 가진 구성원들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서 시작하였다. 특정한 맥락의 조건 하에서 이루어지는 접촉경험은 편견을 완화시키고 긍정적인 관계로 전환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특정 인종이나 민족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는 것은 문화적 상대성을 인식하게 하고, 이는 다문화수용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접촉경험에 따른 학생들의 인식변화 및 다문화수용성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영어마을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캠프에 참여하는 한국중학생 2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일본 학생과의 직접접촉 경험에 따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병행하였다. 양적연구로는 김미진, 정옥분(2010)이 개발한 다문화수용성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사전과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지속적인 사고 변화와 과정과 행동의 내면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서술형 설문지, 인터뷰, 수업관찰 등 수업과 수업외적으로 일어나는 접촉의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학생과의 접촉경험 후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정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별, 외국체류경험, 학년 등 개인별 특성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과 외국체류경험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년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본 학생과의 접촉경험 전과 후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과 일본인식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본 학생과의 접촉경험 전의 학생들의 일본인식은 역사적 인식을 일본인에게까지 전가하는 비합리적인 구조를 보여주었다. 또한 다문화에 대한 인식도 한국의 다문화적 상황과는 동떨어진 인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접촉경험 이후 다문화수용성에 있어서도 문화적 상대성을 인식하고 합리적인 관점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효과적인 직접접촉경험을 위해서는 사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이해 교육 등이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양적연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의 다문화적 개방성은 접촉경험 이후 오히려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가오는 다문화사회에서 실제적으로 발생하게 될 다양한 형태의 직접접촉경험을 대비하여 충분한 다문화교육의 학습이 선행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韩语毕业论文韩语论文题目
免费论文题目: